앞으로 서울 초중고교 주변 지역은 금연구역으로 지정된다. 서울시는 서울시내 1305개 초중고교 정문에서 200m 이내 지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겠다고 2일 밝혔다.
금연구역으로 지정되는 학교는 초등학교 584개, 중학교 381개, 고등학교 312개, 특수학교 28개다. 시는 학교 주변에 금연표지판을 설치하고 자치구 보건소,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금연캠페인을 벌여 나가기로 했다. 금연표지판은 식품안전보호구역 표지판 밑에 ‘금연구역’ 문구를 넣는 방식으로 들어선다. 그동안 학교 주변은 국민건강증진법상 금연구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청소년들의 흡연 시작 연령이 초등학교 3, 4학년으로 점차 낮아지는 등 학교 주변 흡연으로 발생하는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라서 금연구역 지정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게 됐다”며 “국민건강증진법상 지자체는 권한이 없어 실외 금연구역을 지정해도 흡연자를 처벌할 수 없는 만큼 시민들의 동참과 공감대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2007년부터 시는 시내의 모든 버스정류소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금연 공원, 금연 아파트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금연 환경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도 제정했다. 광장, 공원, 음식점 등 모든 공공장소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간접흡연 제로!’ 정책도 함께 추진 중이다. 시는 서울광장과 청계광장을 금연광장으로 지정한 데 이어 7월 완공되는 광화문광장도 금연광장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광장사용 허가를 내줄 때도 금연 홍보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해 흡연 없는 광장으로 정착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