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학년도 자연계 논술 출제경향은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연계 논술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기출문제를 미리 살펴보고 목표 대학의 출제 경향에 맞춰 수리논술과 과학논술을 각각 대비하면 된다.
2009학년도 수리논술 문제는 몇몇 대학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본고사에 가까운 서술형 문제로 출제됐다. 향후에도 이런 경향이 유지될지는 미지수이나, 논술 가이드라인이 폐지됨에 따라 대부분의 대학이 사실상 본고사에 가까운 문제를 출제할 가능성이 높다.
과학논술은 최근 중요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 통합교과형 논술 대신 자연계 논술을 출제하기 시작하면서 과학논술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2009학년도부터 언어논술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교과형 수리·과학논술로 형태를 바꾼 경희대 △2010학년도 모의논술에서 언어논술을 폐지하고 과학 3세트(물리, 화학, 생물)와 수리 1세트의 일반적인 자연계 논술로 전환한 인하대 △교과통합형을 지양하고 물리, 화학, 생물의 교과별 논술로 전환한 고려대가 좋은 예다. 자연계 논술을 실시하는 대학 중 과학논술을 치르지 않는 대학은 이화여대, 아주대 정도. 그 외의 대학은 과학논술에 20∼70%의 배점을 두고 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주요 3개 대학은 모두 수리논술과 과학논술을 구분해 출제하고 있다. 이들 대학의 수리논술, 과학논술 출제경향을 분석해본다.
○ 수리논술 출제경향 분석
2009학년도 수리논술 기출문제를 살펴보면 고려대, 연세대가 모두 수시 논술에서 사실상 본고사에 가까운 형태의 논증형 문제와 계산형 문제를 출제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내용면에서는 교과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어 정상적으로 교과과정을 이수한 학생이라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였지만, 문제의 수준은 상당히 높았다. 단순지식 암기로는 풀 수 없는 수리·과학적 사고력을 요하는 문항들이었다.
반면 서울대 정시논술은 2008학년도와 마찬가지로 제시문을 주고 논제를 제시하라는 형태를 띠었다. 문항에 따라 관련된 공식이나 참고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지식의 유무가 아니라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문항 수를 살펴보면 서울대는 4개 논제에 소논제 5개, 고려대는 제시문 2개에 각 2∼3문제, 연세대의 경우는 3문항이 출제됐다.
○과학논술 출제경향 분석
2010학년도 모의논술과 2009학년도 수시논술을 통해 살펴본 과학논술의 가장 큰 특징은 수리논술과 마찬가지로 본고사 논란이 일어날 정도로 난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본고사와 가깝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는 공식을 적용하거나 계산을 해서 정확한 답을 내야 하는 문제들의 출제빈도가 높아졌다는 점이고, 둘째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수능 시험만 준비해왔을 경우 접근하기 힘든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다는 점이다.
과학논술의 문제유형에는 △과학교과 내용이 제시문에 이용되지만 배경지식보다는 제시문의 내용만 활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형인 ‘제시문 해석형’ △가장 많이 출제되는 유형으로 제시문에 관련 교과내용이 주어지고 배경지식으로 알고 있는 과학교과 내용을 추가로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풀이하거나 설명하는 유형인 ‘교과지식(활용)형’ △과학2의 내용이나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이 포함되기도 하는 ‘심화 교과형’ △과학에서 다루는 공식이나 제시문의 수식을 이용해 적절한 식을 세운 후 수학적 풀이를 요구하는 유형인 ‘교과(수리ㆍ과학) 통합형’이 있다(<그래픽> 참조). 이 중 ‘심화 교과형’과 ‘교과 통합형’이 본고사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문제유형이다. 전문가들은 이들 문제유형의 출제비중이 높아진다면 2010학년도 자연계 논술은 한층 까다로워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과학논술에서도 공식이나 제시문에 주어진 수식을 이용해 적절한 식을 세운 후 수학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유형이 등장한다. 미분ㆍ적분, 함수의 최대ㆍ최소, 수열 등의 수학적 풀이를 요구하는 문제이지만 문제의 해석 과정이나 식을 세우는 데는 과학적인 지식이 필요한 문제다. 이런 유형의 문제는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건국대, 경희대, 서울시립대, 인하대 등에서 출제하고 있으며 출제 빈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