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근무성적평정(근평)을 없애지 않으면 교원평가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전교조는 2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 사무실에서 ‘교원평가 법제화 국면에서의 전교조의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임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었다. 위원회에는 정진후 위원장과 각 시도 지부장을 포함해 핵심간부 22명이 참석했다고 엄민용 대변인이 전했다. 이들은 오후 1시 반부터 7시까지 휴식 없이 비공개로 회의를 진행했다.
회의가 끝난 뒤 엄 대변인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교원평가에 반대하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며 “단, 필요할 경우 이후 구체적인 대응 방안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교조 집행부는 10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었다. 그 후 20일도 안 돼 임시위원회를 소집했다. 이 때문에 ‘교원평가 수용 의사를 밝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여기저기서 나왔다.
전교조에 정통한 소식통은 “집행부에서는 교원평가를 수용하겠다는 내부 결론을 내리고 이번 위원회를 소집했다고 들었다. 10월에 토론회를 연 뒤 임시 대의원대회를 마련해 공식 의견을 확정하자는 의견이었다”며 “하지만 강경파는 아직도 고집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기존 방침을 되풀이하는 수준에 그친 것 같다”고 말했다.
전교조가 문제 삼고 있는 근평은 주로 사무 행정 업무 능력을 평가한다. 근평 성적은 승진 기준이다. 반면 교원평가는 수업 전문성 위주다. 아직은 승진과 무관하다. 전교조는 “교원평가 논의는 근평의 불합리성 때문에 시작했다. 근평을 폐지하고 교장 임용 제도를 혁신해야 새로운 교원평가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임하겠다”는 의견을 고수한다.
한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는 이날 교육과학기술부에 ‘교원평가’안을 제출했다. 한국교총은 이 안에 △절대평가 방식 도입 △인사연계 반대 △학생 학부모 평가성실도 측정 방안 등을 담았다.
황규인 기자 kini@donga.com
남윤서 기자 baro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