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대형 종합시공업체인 신동아건설의 비자금 조성 단서를 잡고 내사 중인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권오성)는 이 회사의 비자금 조성 의혹과 함께 2001년 이 회사가 중견 건설업체인 일해토건에 인수합병될 때 부당한 특혜가 있었는지도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수개월 전부터 이 회사의 회계 관련 자료를 분석해 왔으며, 계좌 추적 등을 통해 자금 흐름을 수사한 결과 회삿돈을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입증할 수 있는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 회사 경영진이 수년 동안 대규모 아파트 시공과정에서 공사 관련 하도급 비용을 실제 금액보다 부풀리는 방법 등으로 비자금을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조만간 일해토건과 신동아건설 관계자들을 소환조사하는 등 본격 수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회삿돈 횡령 등 비자금 조성 의혹뿐만 아니라 검찰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일해토건의 신동아건설 인수 과정이다. 김대중 정부 때인 2000년부터 진행된 신동아그룹 해체 과정에서 신동아건설 등 계열사 매각과 관련해 DJ 정부의 실세들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1977년 신동아그룹 계열사로 설립된 신동아건설은 2001년 시공능력 평가액이 3000억여 원으로 당시 국내 최고층 건물인 서울 여의도 63빌딩 등을 건설한 업계 40위권(현재 30위권) 건설회사였다. 그러나 2001년 신동아건설은 이름이 크게 알려지지 않은 중소규모 업체인 일해토건에 전격 매각됐다. 일해토건은 DJ 정부 당시 관급공사를 수주하면서 1999년 916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급성장한 토목건설업체다. 당시 일해토건은 채무 870억 원을 승계하고 신동아건설을 불과 1억7700만 원에 인수했다. 2002년 국회 국정감사 당시 야당 의원들은 “신동아건설 주가를 주당 1원으로 평가해 헐값으로 매각했다”며 “신동아건설 인수자인 일해토건이 정권 실세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특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검찰이 신동아건설에 대한 본격적인 내사에 들어가면서 DJ 정부 당시 최대 의혹사건으로 꼽히는 신동아그룹 붕괴 과정의 실체가 드러날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1999년 최순영 당시 신동아그룹 회장이 구속된 뒤 대한생명과 신동아건설, 공영사, 동아제분, 프린스호텔 등 계열사가 차례로 매각되면서 신동아그룹이 해체됐다.
검찰 수사는 일단 일해토건과 신동아건설의 횡령 및 비자금 조성 의혹을 파헤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일해토건의 정관계 로비 의혹과 DJ 정부 실세들이 신동아그룹 해체에 개입했는지를 가리는 데까지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