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 1000개 육성-일자리 2만8000개 창출 대상기업 年4회 선정 2012년까지 재정-인력지원 장애인 등 취약계층 채용
서울시가 ‘서울형 사회적 기업’을 육성해 ‘고용’과 ‘복지’ 두 마리 토끼 사냥에 나섰다.시는 2012년까지 서울형 사회적 기업 1000개를 발굴해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2만8000여 개를 만든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기업이 제공하는 보건의료 및 환경, 보육 등 사회 서비스를 통해 그동안 낙후됐던 지역 공공 서비스 질도 끌어올린다는 취지다.
○ 취약 계층에겐 일자리
이번 방안에 따르면 서울형 사회적 기업은 내년까지 250곳, 2011년 350곳, 2012년 400곳 등 3년에 걸쳐 늘어난다. 우선 방과후 학교 교사나 홀몸노인 도시락 배달 등 현재 희망근로 및 공공근로사업으로 시행되는 단기적 임시 일자리 중 시장 경쟁력과 수익 발생 가능성이 높은 일부가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된다. 어린이 등하교 도우미나 학부모 급식보조 등 자원봉사 형태 일자리와 청소 및 건물관리 등 취약계층의 자활을 지원하는 사업 등도 사회적 기업 전환 대상이다. 이렇게 새로 만들어지는 일자리는 월평균소득이 전국 가구 평균의 60% 이하인 저소득층 가구와 고령자, 장애인, 여성가장 등에게 돌아간다.
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예비 사회적 기업’을 지정해 기업당 직원 10명에게 1인당 월 90만 원을 주는 등 최대 2년간 총 3억여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조직 관리나 경영, 법률, 회계 등에 대한 컨설팅과 마케팅, 홍보 등에 대한 지원도 최대 2년까지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서울형 사회적 기업은 매년 1월과 5월, 8월, 11월 정기적으로 모집한다. 신청서 접수 후 심사를 거쳐 최종 결정한다. 첫 공모는 올해 11월 시작할 예정이다.
○ 지역 주민에겐 복지 서비스
시는 서울형 사회적 기업을 활용해 그동안 재정적, 행정적으로 여유가 부족해 제대로 시행하지 못한 사회적 서비스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향후 육성에 나서는 사회적 기업 분야 역시 수요가 부족한 보건·의료·복지(400개), 사회복지(336개), 문화(126개), 환경(110개), 교육(15개) 등이다.
특히 사회적 기업은 주로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고용 창출 효과를 가져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복지 및 공공 서비스를 한층 강화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최항도 서울시 경쟁력강화본부장은 “공공근로나 인턴 등 대부분 임시직인 기존 공공 일자리의 한계를 뛰어넘는 지속 가능한 개념의 새로운 일자리 대책”이라고 말했다. :사회적 기업이란: 비영리와 영리 기반의 중간 형태로, 일반 기업과 같은 전문적인 경영과 조직을 활용해 이윤을 창출하고 그 이윤으로 다시 사회적 가치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아름다운 가게와 노리단, 다솜이재단 등이 대표적인 사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