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경제교육기업인 ‘아이빛연구소’에서 청년인턴으로 근무하고 있는 김상대(왼쪽) 김진호 씨가 3일 서울 금천구 가산동의 연구소 사무실에서 대화하고 있다. 지난해 6월부터 이 업체에서 청년인턴으로 일했던 두 사람은 능력을 인정받아 12월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전영한 기자
○ 10개월 알바? 심부름 등 단순업무 그쳐 정규직 전환 기회도 없어
○ 도약의 발판? 일부 부처 고강도 실무 별정직 공채 응시 합격도
청년층의 극심한 취업난을 덜기 위해 정부가 지난 1년 동안 행정인턴제를 도입해 운영했지만 이들 가운데 절반은 인턴을 끝낸 뒤 다시 ‘백수’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졸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중앙행정기관 등에서 인턴으로 근무할 기회를 주는 행정인턴제가 청년실업 해소의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제도 도입 당시의 비판이 들어맞은 셈이다.
○ 행정인턴 해도 절반은 다시 ‘백수’
4일 행정안전부가 한나라당 이범래 의원실에 제출한 ‘행정인턴 취업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30일 기준으로 중앙부처 행정인턴 계약기간을 마쳤거나 중간에 그만둔 4069명 중 취업에 성공한 사례는 45.7%인 1861명이었다. 취업하지 못했지만 행정인턴을 퇴직한 경우는 54.3%(2208명)였다. 하지만 취업한 뒤에 행정인턴을 계속할 이유가 없는 것으로 미뤄 볼 때 기준일 당시 행정인턴을 계속하고 있는 3118명까지 감안하면 행정인턴 경험자 중 취업한 사람의 비율은 25.9%로 네 명 중 한 명꼴에 불과하다.
지방자치단체 행정인턴도 계약기간 종료 등으로 퇴직한 6533명 중 3501명이 취업해 53.5%의 취업률을 보였다. 하지만 역시 기준일 당시 근무 중인 7314명을 감안하면 지자체 행정인턴 경험자의 취업률도 25%대에 불과하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이 원하는 인턴을 뽑고 정부가 최대 1년간 50%의 인건비를 지원해주는 청년인턴의 정규직 전환률은 80%에 육박했다. 청년인턴 과정이 끝난 8003명 중 79.7%인 6381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돼 행정인턴과 대조를 이뤘다.
○ 행정인턴 업무만족도 ‘별로’
정부는 청년들에게 직장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턴제를 도입했으나 참가자들은 대체로 업무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청에서 행정인턴을 한 이모 씨(26·여)는 “공시에 나오는 그림을 똑같이 베끼는 업무가 주어졌고, 당연히 업무로 인한 성취감은 느끼지 못했다”며 “행정인턴들은 신문 정리나 심부름을 하는 경우가 많아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에서 5개월간 인턴으로 일했던 허모 씨(24·여)도 “인턴 시작 1주일이 지나 매일 같은 일을 반복해야 한다는 걸 알고 실망했다”고 털어놨다. 행정인턴 경험자들은 근무 기관의 실무를 배울 기회가 주어지길 기대했다. SH공사에서 행정인턴을 한 이모 씨(27·여)는 “지금까지는 그냥 뽑아놓고 교육도 제대로 안하는 것으로 느껴졌고, 계약직의 한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험자들이 꼽는 행정인턴의 가장 큰 문제는 업무를 열심히 할 유인책이 없다는 것. 대기업 인턴은 정규직 전환 기회가 주어지는 반면 행정인턴은 그런 기회가 없어 구직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높다.
반면 일부 부처의 경우 인턴의 업무 강도가 높아 제대로 일을 배울 수 있었다는 경험자도 있었다. 문화부 홍보지원국에서 인턴으로 일한 박지은 씨(24·여)는 “9개월 동안 정규직 직원과 유사한 강도로 일을 하면서 훈련을 확실히 받았다”고 말했다. 다른 직업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박 씨는 인턴 이후 진로를 바꿔 문화부 별정직 공채에 응시해 합격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