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년 전 살았다는 한 기생의 추모사업을 놓고 울산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주인공은 900∼1100년 사이에 생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화앵(전花鶯)’이라는 기생.
전화앵은 조선 중종 25년(1531년)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열박령은 경주 남쪽 30리에 있고, 경주 기녀 전화앵이 묻힌 곳’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또 원로사학자인 성신여대 이현희 명예교수는 1988년 ‘창기와 명기의 애환’이란 저서에서 “국가의 비운을 맛본 전화앵은 경주 남쪽 열박령을 좋아했고 고려 무인들이 함께 송도로 갈 것을 권했지만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 기록을 근거로 한 지역방송이 1996년 7월 “울주군 두서면 활천리 산57의 묘가 전화앵이 묻힌 곳”이라고 주장한 뒤 이 무연고 묘는 전화앵의 묘로 굳어졌다. 울산학춤보존회는 2002년부터 매년 ‘전화앵제’를 여는 등 추모사업을 벌여왔다.
울주군과 울주문화원도 지난해부터 전화앵 추모사업을 주관하면서 전화앵 묘 성역화를 위해 지난해 11월 울산발전연구원에 발굴을 의뢰했다. 울산발전연구원은 “이 묘지는 7세기 말 횡혈식 석실분으로 전화앵 생존 연대와는 200∼300년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 누구 묘인지 전혀 알 수 없다는 결론.
서창원 울산지역홍보연구소장은 최근 언론 기고문을 통해 “전화앵은 경남 진주의 논개와 같은 의기(義妓)라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며 “정확한 묘지 위치도 모르는 상태에서 자치단체 등이 예산을 들여 성역화와 추모사업을 벌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문화계 인사는 “울산 출신 역사인물이 많은데 울산과 별 연관성도 없는 기생을 추모한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울주문화원 김금자 사무국장은 “전화앵의 묘가 확실하지 않아 묘역 성역화사업은 보류하겠지만 추모사업은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