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1919∼2008년 90년간 한반도의 24절기 기후를 분석해 11일 펴낸 ‘기후변화 이해하기V-입춘에서 대한까지’라는 책에 따르면 소한, 대한, 입춘 등 겨울철 절기의 최근 10년(1999∼2008년) 평균 기온은 과거(1919∼1948년)보다 2.0∼2.8도 상승했다. 4계절의 전체 절기 가운데 과거보다 평균기온이 내려간 것은 처서(8월 23일경)뿐이었다.
2월 19일경인 우수 때 눈이 내리는 횟수는 줄어들고 비가 내리는 일이 잦아졌다. 우수의 최근 평균기온은 과거보다 3.3도 상승했다.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는 상강(10월 23일) 전에 첫 서리가 내리는 현상도 과거보다 줄었다. 1979∼2008년 상강 전에 각 지역에서 첫 서리가 내린 횟수는 1919∼1948년보다 2∼21회 감소했다. 기상청은 “봄이 시작되는 시기와 겨울이 끝나는 시기가 과거보다 2∼19일 앞당겨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보면 24절기의 평균기온은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대관령이 제일 낮았다. 입춘(2월 4일)∼곡우(4월 20일)와 입추(8월 8일)∼대한(1월 20일) 시기에 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였고, 입하(5월 6일)에서 대서(7월 23일) 사이엔 남부 내륙에 있는 대구가 가장 더웠다.
기상청은 평균기온 비교를 위해 1919년부터 기후를 관측한 서울, 인천, 대구, 부산, 강원 강릉, 전북 전주, 전남 목포 등 전국 7개 지점의 자료를 분석했다. 지역별 기온 분포 등에는 전국 71개 지점에서 1973년부터 2008년까지 관측한 자료도 활용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