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 경북 경주시(27만 명)와 비슷한 전남 여수시는 올해부터 5년 동안 1300억 원을 학교에 지원하는 ‘여수시 교육발전 5년 계획’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갔다. 여수시 관계자는 1일 “매년 초중고교에 100억 원가량을 지원하고 있지만 교육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어 체계적인 지원이 시급하다”며 “지역에서 교육받은 초중고 학생들이 훗날 글로벌 인재가 되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서울과 부산, 울산의 경우 다음 달 기업에서 오랫동안 일한 인사들이 전문계고(마이스터고) 교장으로 부임한다.
상당수 학교 재단이 지난해부터 도입된 자율형 사립고 등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재단전입금 문제로 주저하자 정부는 기업과 재단이 공동으로 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자율형 사립고가 크게 늘어나 이들 학교 중에서도 우열이 가려지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대구와 경북에서 ‘전통적인 교육도시의 명성을 회복하자’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전통적으로 대구와 경북은 교육에 강한 지역이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진단일 것이다. 며칠 전 대구시는 ‘교육도시의 면모를 되찾고 인재 육성을 위한’ 용역보고회를 열었다. 바람직한 일이지만 이제야 이런 고민을 구체적으로 하는 것은 만시지탄이다.
대구시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은 올해부터 자율형 사립고나 특성화 고교 등 평준화 고교와는 다른 형태의 고교 운영을 확대해나갈 방침이지만 이미 전국적으로 시행 중인 것이라 특별히 새롭지는 않다. 특히 대구의 경우 수성구 지역으로의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고교 다양화’를 추진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사고의 틀이 여전히 ‘대구 안’에 머물러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왜 대구와 경북이 전통적으로 교육에 강한 지역인가’를 물어보면 아무도 명확하게 대답을 하지 못한다. 그렇다고 다른 지역에서 대구와 경북을 교육도시로 기억하고 알아줄 것 같지도 않다. 특별히 내놓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실체가 애매모호한 전통을 부르짖기보다는 ‘바깥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바짝 긴장하고 살피면서 ‘새로운 전통을 위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돌아봐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