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美NASA 연구원, 서울대 의대 교수됐다
동아일보
업데이트
2010-02-25 10:05
2010년 2월 25일 10시 05분
입력
2010-02-25 10:05
2010년 2월 25일 10시 05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국산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과 미국의 차세대 우주왕복선 개발에 참여한 항공우주공학자가 서울대 의대 교수로 임용됐다.
25일 서울대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랭글리 연구센터 소속 김성완 선임 우주항공연구원 (48)을 서울대 의공학과 교수로 임용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강원도 출신으로 1981년 서울대 전자공학과에 입학하고 학부 3학년 때부터 '자동제어'(automatic control) 기술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자동제어는 미리 입력해 둔 목표치와 피드백(feedback) 수치가 다르면 자동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기술이다.
김 교수는 미국 드라마 '600만불의 사나이'에 등장하는 생체공학 기술을 자기 손으로 구현해 보겠다는 어릴 적부터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생각에 자동제어 기술연구에 매달렸다.
그는 결국 1984년 갓 신설된 서울대 의공학부에 몸을 담았고, 한국인 체형에 맞는 인공심장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 관련 논문으로 1987년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하지만 김 교수는 이듬해 미국으로 이민을 가면서 오랫동안 의공학계를 떠나 항공우주 분야로 관심을 돌렸던 것.
그는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에서 박사 과정을 밟던 중 자동제어 분야의 권위자인 A.발라크리쉬난 교수의 지도로 '항공분야 자동제어' 연구를 시작했다.
김 교수는 이후 영국 항공방위산업체 BAE 시스템스의 군용유인항공기시스템 선임 개발팀장과 미국 보잉 수석 공학자 등으로 일하며 T-50과 무인항공기(UAV) 등의 자동 항법제어장치를 개발했고, 2000년부터는 NASA에서 차세대 우주왕복선 X-37 개발에 참여해 왔다.
이렇게 미국 항공우주 분야에서 입지를 다진 그가 20여년 만에 한국에 돌아온 까닭은 초심으로 돌아가 다시 의공학 분야에 도전하고픈 욕심 때문이다.
김 교수는 "무엇보다 원래부터 하고 싶은 분야인 데다 자동제어의 기본적 원리는 거의 같아 어느 분야에 적용하느냐에 따라 전공이 달라지는 것일 뿐이어서 뒤늦은 귀환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소감을 말했다고 서울대 측은 전했다.
김 교수는 "의공학은 인공심장, 인공 팔ㆍ다리, 수술 로봇 등 자동제어를 적용할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며 "수술로봇이나 암, 알츠하이머 등 질병을 조기 진단하는 장치 개발에 도전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24일 귀국한 김 교수는 내달부터 서울대 의공학과 강단에 설 예정이다.
인터넷 뉴스팀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2시에 폭파 하겠다”…협박전화에 호텔 투숙객들 대피 소동
[단독]美 ‘레이더 여단’, 올 하반기 韓 순환배치
전기차는 클린? 브레이크 분진이 디젤 배기가스보다 해롭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