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가 마련한 이날 공개설명회에는 이재율 기획조정실장과 김동근 교육국장(이상 경기도), 김원찬 기획관리실장과 이덕근 지원국장 직무대리(이상 경기도교육청)이 각 기관의 대표로 참석했다.
경기도 측은 “경기도는 민선 4기 김문수 지사 취임 이후 학교용지 매입을 위해 실제로 들어간 돈의 97.8%인 7133억 원을 분담했다”며 “경기도교육청이 김 지사 재임 때 미전입금이 수천억 원에 이른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개교 예정인 학교 땅의 계약금 등은 이미 지급했거나 예산에 반영했다”며 “채권, 채무 상태로만 남은 과거 미전입금 문제를 학교 신설과 결부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교육청 측은 경기도 주장에 대한 구체적인 반박보다는 기존 의견을 되풀이했다. 김원찬 실장은 “과거 미전입금(약 9900억 원)에 대한 분담계획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유이자 상환조건 철회가 이뤄져야 학교 신설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