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막 중학생이 된 학생들이 가장 먼저 넘어야 하는 ‘난관’이 있다. 바로 수업시간에 적응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때와 달리 중학교에선 과목별 담당교사가 있어 하루에도 과목과 가르치는 스타일이 서로 다른 4, 5명의 교사에게 수업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중학교 수업을 처음 받던 날, 담임선생님이 인사를 하더니 교실 밖으로 나가시는 거예요. ‘왜 수업 안하시지?’란 생각에 의아하고 당황스러웠죠. 그 10분 뒤 ‘천정명’(미남 탤런트 이름)을 닮은 ‘샤방한’(‘잘 생긴’이란 뜻의 신세대 은어) 남자선생님이 들어오는 게 아니겠어요? 담임선생님이 바뀐 줄 알고 엄청 좋아했는데, 알고 보니 국어선생님이었어요.”(류모 양)
중1이 된지 한 달이 된 류 양(13·경기 남양주시)은 중학교에선 수업시간마다 다른 선생님들이 들어온다는 사실이 낯설었다. 한편으론 ‘이 과목 선생님은 어떤 분일까?’하고 수업을 기다리는 것이 재미있었다. 하지만 수업마다 선생님이 다르다는 사실은 이내 고민거리가 됐다.
선생님마다 다른 수업방식에 어떻게 하면 잘 적응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던 류 양은 묘안을 생각해냈다. 선생님별 외모, 성격, 목소리, 말투, 수업방식 등을 모두 파악해 수업마다 ‘맞춤형 대처법’을 만든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국어선생님의 경우 ‘외모=깔끔함, 성격=치밀하고 계획적임, 목소리=작고 낮음, 말투=나긋나긋함, 수업방식=농담 전혀 없이 오로지 설명’이란 내용을 작은 노트에 따로 정리해 놓은 뒤 이런 사실들을 종합 고려해 ‘국어시간엔 졸리기 쉬우므로 눈이 감길 때마다 손등을 꼬집을 것’이란 대처법을 세웠다. 또 ‘목소리가 크고 말투가 쾌활하며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중요시 해 질문을 많이 하는 과학 선생님’의 수업에도 대비했다. 수업 전 교과서에서 그날 배울 부분을 미리 읽어보고 예상되는 선생님의 질문을 뽑아 답변을 준비하는 치밀함을 보인 것. 류 양은 “지금은 학교에 있는 거의 모든 선생님의 ‘데이터’를 갖췄다”고 말했다.
중2 안모 군(14·서울 동대문구) 역시 1학년 초에 시간마다 바뀌는 선생님들의 수업방식에 적응하느라 애를 먹었다. 안 군이 특히 어려움을 느낀 것은 국사수업. 초등학교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방대해진 ‘필기량’ 때문이었다. 국사선생님은 칠판을 다섯 부분으로 나누고선 왼쪽 위모서리부터 오른쪽 밑모서리까지 칠판 가득 필기를 했다. 안 군은 “선생님의 필기속도가 빠른데다 분량까지 엄청나게 많아 모두 받아 적고나면 손목이 아팠다”며 “글씨 쓰는 속도가 느린 탓에 필기를 다 하기 전 수업이 끝나버리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필기도 다 하고, 수업도 모두 들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던 안 군. 한참을 고민 끝에 그는 선생님의 수업내용을 녹음하기로 결정했다.
안 군은 우선 온라인 쇼핑몰에서 7만원이란 ‘거금’을 주고 MP3플레이어를 구입했다. 행여 수업시간에 녹음하는 것을 선생님에게 들키지 않도록 손가락 두 마디 크기의 초소형 모델을 택했다. 자리가 맨 뒤여서 선생님의 목소리가 잘 녹음되지 않을 것이 우려됐다. 그래서 친구에게 빵을 사주고 ‘매수’하는데 성공해 국사시간이면 3분단 2번째 자리인 친구와 자리를 바꿀 수 있었다. 안 군은 “집에 돌아와서 녹음된 수업내용을 찬찬히 반복해 들으니 필기하느라 수업 때 놓쳤던 설명들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필기도 완벽하게 하고 수업내용도 완벽하게 들을 수 있단 생각에 국사시간이 더 이상 두렵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