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정치파업땐 더 강한 징계 받을것”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5월 12일 03시 00분


허준영 코레일사장 “파업참가 전원 가중처벌”
외부인력 등 14000명 투입… “철도대란 없을 것”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노사는 11일 오후 5시경부터 허준영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임금 및 단체협상 본교섭을 벌였으나 오후 11시 현재 노조 전임자 수와 노조 간부에 대한 인사 절차 문제 등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 측은 “사측이 교섭 타결보다는 단체협약 해지를 염두에 두고 시간만 끌고 있다”며 “단협 전체를 규정하는 핵심 내용은 결코 양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노조가 정치 활동에만 주력하며 투쟁만 하고 있다”고 맞섰다.

회사 측은 협상 타결에 실패해 노조가 파업에 들어갈 경우 불법 쟁의행위가 되는 만큼 참가자에 대해 엄중히 대응할 계획이다. 허 사장은 이날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노조의 정치파업을 인정할 수 없다”며 “파업에 동참한 노조원은 지난번보다 더 심한 징계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 사장은 지난해 11월 말 철도노조가 8일간 파업을 벌인 데 대해 참가자 전원(1만1000여 명)을 징계한 바 있다.

그는 “불법 파업에 동참할 경우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을 정착시키기 위해서 이번에도 파업 참가자를 전원 징계할 방침”이라며 “지난번에 이어 연달아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은 견책에서 감봉으로, 감봉에서 정직으로, 정직에서 해고로 각각 징계 수준을 높여 가중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이미 직원들 사이에서는 파업 참여를 피할 수 있는 필수유지 인력에 지정되는 것을 ‘로또’라고 부를 정도로 참여를 꺼리고 있다”며 “의리 때문에 파업에 동참하려는 직원들에게 국민과의 의리가 더 중요한 것임을 설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허 사장은 “불참자에 대한 ‘왕따 문화’도 사라지고 있어 만약 파업이 시작되더라도 지난번처럼 피해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파업이 시작되더라도 열차 운행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대책 마련에 나섰다.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필수유지 인력 9561명과 내·외부 협력업체 인력 5120명을 동원해 KTX와 수도권 전동차, 통근형 열차는 평소와 같이 100% 정상 운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또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운행률은 평상시 대비 60%대를 유지하고, 화물열차는 22%가량 운행할 계획이다. 또 시외버스·고속버스 증차 운행, 셔틀버스 투입, 택시부제 해제 등으로 운송대란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김용석 기자 nex@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