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스터디]“같은 주제의 이야기 - 정보책 함께 읽으면 시너지 효과 톡톡”

  • Array
  • 입력 2010년 5월 17일 03시 00분


사고력 길러주는 장르별 독서법

《폭넓은 사고력을 배양해야 할 시기의 초등학생들에게 편독 습관은 사고력성장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무조건 책을 읽힌다고 사고력이 자랄까? 장르별로 읽어야 할 시기가 따로 있을까? 다양한 장르의 책을 골고루 읽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 사고력 배양을 위한 장르별 독서법을 알아보자.》

이야기책 저학년-줄거리중심 읽기, 고학년-꼼꼼하게 읽는 습관 기르고
정보책 현실에 관심·배경지식 필요… 초등 3학년부터 읽는게 좋아


1.이야기책(픽션)


옛이야기, 창작동화, 신화, 역사 소설, 명작 소설(고전 소설), 인물 이야기 등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책이 ‘이야기책(픽션)’이다. 이야기책에서는 등장인물과 사건, 배경 등의 장치를 통해 내용을 전개한다. 주변의 이야기를 다루기 때문에 아이들이 쉽게 몰입할 수 있는 장르이기도 하다.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글에서는 공감적, 상상적, 창의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의좋은 형제’ ‘소가 된 게으름뱅이’와 같은 이야기에는 옳은 것과 그른 것, 착한 것과 악한 것의 갈등과 해결 방안이 들어 있기 때문에 삶의 가치를 습득해야 하는 취학 전∼초등 1학년 아이들에게 적합하다. 또한 ‘모세 이야기’, ‘고구려를 세운 주몽’과 같이 환상과 현실이 결합되어 있는 신화나 전설, ‘거미줄(아쿠타가와 류노스케)’처럼 현실 문제를 소재로 하는 창작 동화는 초등학교 3, 4학년생에게 적합하다. 역사 소설이나 인물 이야기는 지적 호기심과 자기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적합하며, 고전은 배경 지식을 갖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 이후에 읽히는 것이 좋다.

저학년 아이들은 내용 파악을 우선으로 하는 줄거리 중심의 읽기를 시킨다. 고학년 아이들은 △책에 나온 단어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억하며 읽기 △책 내용에 대해 의문을 갖고 해석적 질문 만들기 △자신이 던진 질문에 스스로 답해 보기 △책의 내용을 자신의 표현으로 다시 정리해 보기 등의 활동을 통해 꼼꼼하게 읽는 습관을 기르도록 한다. 고학년이 돼서도 줄거리 위주의 책 읽기를 계속하는 경우, 깊은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수준의 글이 나왔을 때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정보책 읽기에 빠져 이야기책 읽기의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에게는 정보책에 가까운 실화를 엮은 이야기책부터 읽게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침팬지 연구가 제인 구달의 자서전인 ‘침팬지와 함께한 나의 인생’이나, 갈릴레이 갈릴레오의 전기를 바탕으로 한 ‘그래도 지구는 돈다(김재건)’, 세종 대왕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낸 ‘너무 바쁜 세종(권희선)’ 등의 소설을 통해 이야기책에 흥미를 갖도록 유도한다.

2.정보책(논픽션)

과학 역사 경제 사회 문화 철학 등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으며 주제별로 분류가 가능한 책이 ‘정보책(논픽션)’이다. 정보책은 인간을 둘러싼 사물과 자연 현상, 사회 현상에 관한 지식, 정보를 다루고 있으며 한 가지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과 여러 정보를 다양하게 소개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정보가 중심이 되는 글에서는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이야기책과 달리 정보책은 아이들이 학습으로 생각해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아이가 좋아하는 주제의 이야기책과 관련된 정보책을 함께 읽게 하면 좋다. 예를 들어, ‘박씨전’과 조선 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담은 정보책을 함께 읽으며 대화를 나누는 방법이 있다. 정보책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필요한 정보만 발췌해서 읽기 △책을 읽기 전에 ‘내가 알고 있는 것’과 ‘알고 싶은 것’을 먼저 적고 책을 읽은 뒤에 ‘알게 된 점’을 정리하기 △박물관 체험을 통해 정보책의 내용 확인하기 등이 있다. 정보책은 현실에 관심이 많고 학습에 배경 지식을 필요로 하는 초등 3학년부터 본격적으로 읽히는 것이 좋다. 정보책을 고를 때는 아이들이 다양한 지식을 알고, 그 지식을 통합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자세한 설명은 ezstudy.co.kr

도움말 한솔교육 주니어플라톤 연구소

정석교 기자 stayfu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