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가 있죠. 변화에 대한 우려도 있고요.” 경남도 6급 공무원 A 씨(40)는 15일 무소속 김두관 도지사 당선자에 대한 청내 분위기를 이렇게 전했다. 김 당선자는 도지사 선거 3수 만에 영광을 안았지만 주위 여건은 열악하다. 경남 국회의원 17명 중 14명, 도의원 당선자 54명 중 38명, 시장 군수 당선자 18명 중 11명이 한나라당이다. 한나라당 성향 무소속을 합치면 더 많다, 중앙정부 및 도의회, 시군과의 관계에서 정치력이 요구되는 이유다.
지역 관가에서는 우선 정무부지사를 포함한 인사를 주시하고 있다. 야 3당 단일 후보인 그는 선거에서 민주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으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이들은 대거 도지사직 인수위에 참여하고 있다. 첫 인사는 향후 도정 기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시금석이다.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서도, 논공행상에 매몰돼서도 안 된다”는 지적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적극 반대한다. 14일엔 낙동강 공사현장도 찾았다. 이 문제는 찬반이 극명하게 엇갈린다. 영남권 자치단체장 대부분은 그와 의견이 다르다.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궁금하다.
경남에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직간접으로 관련된 일이 더러 있다. 특히 노 전 대통령은 재임 후반기 고향을 많이 배려했다. 한나라당 김태호 도지사가 깃발을 들었던 ‘동서남해안권 발전 특별법안’에 대해 보완을 조건으로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은 것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마산 로봇랜드 유치도 비슷한 사안. 혁신도시(진주) 역시 노 전 대통령이 시작했다. 취사선택, 완급조절을 고민해야 한다.
선거 당시 한나라당이 검찰에 고발한 ‘선거공약서’ 문제도 가볍게 여길 사안이 아니다. 공약서 16개 면 가운데 ‘김두관’이라는 이름이 14개 면에 포함돼 공직선거법 66조 ‘후보자 사진, 성명, 기호, 학력, 경력 등은 1개 면 이내에서 게재할 수 있다’는 규정을 어겼다는 것. 더불어 관사와 관용차를 둘러싼 잡음도 취임 초기 경계 대상이다.
김 당선자의 발걸음은 더디고 무거운 편이다. ‘느리게 걷기’는 그의 취미다. 이번 당선 역시 ‘떨어지는 물방울이 바위를 뚫은 것(水滴穿石)’에 비유된다. 새롭게 경남의 미래를 짊어진 그가 속도보다는 방향을 중시하며, 성공적으로 연착륙하기를 기대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