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수원시 체육회관에 마련된 수원시장 취임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염태영 수원시장 당선자. 사진 제공 수원시장 취임준비위원회
“수원의 경제적 활력을 되찾기 위해 첨단기업들을 유치하고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염태영 경기 수원시장 당선자(49·민주당)는 13일 수원시체육회관에 마련된 취임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동아일보 기자와 만나 이같이 밝혔다. 염 당선자는 “수원에 있던 삼성 공장들이 하나둘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경제가 침체됐다”며 “파주 액정표시장치(LCD)단지처럼 일자리를 늘릴 첨단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기업들과 적극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간 조 단위의 생산을 하는 삼성 발광다이오드(LED) 공장의 신증설 라인을 세종시로 유치하려는 정부계획을 막는 데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기업 유치를 가로막는 수도권정비계획법의 폐지나 완화도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당을 떠나서 경기도는 물론 중앙정부와도 초당적 협력을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적 활력을 되찾기 위한 태스크포스를 인수위에 두고, 필요하면 수원시청 안에도 조직을 만들겠다는 구상도 피력했다.
염 당선자는 용산전자상가 같은 ‘디지털 박물관을’ 구도심에 만들어 또 하나의 명소로 만들어나가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그는 “삼성전자가 있는 만큼 각종 첨단 전자제품 등의 신제품을 먼저 선보이고 홍보 및 마케팅을 결합하면 경쟁력 있는 전자제품의 메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수원역에서 구도심인 북문과 남문을 연결하는 노면전차를 도입하고, 걷는 길을 조성해 사람들을 구도심으로 유인하겠다고 밝혔다. 구도심의 빈 건물들을 리모델링해 청년창업벤처센터도 만들 계획이다.
현행 민간업자 주도의 뉴타운 개발방식을 지양하는 한편 주민들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주민의사가 반영되는 가칭 광역적 웰타운을 추진하겠다는 구상도 공개했다. 업자들에게만 맡겨놓고 방관했던 방식에서 공공기관이 개발 구상부터 완공까지 주민들을 적극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겠다는 것. 이를 위해 도시재정비전문 조직인 도시재생사업단을 설치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과 원예 축산 연구소 등의 지방 이전은 공공기관 이전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이전을 막을 수 없다면 이전 용지는 아파트나 상업시설로 개발할 것이 아니라 최소한 신약 농업 등 첨단생명공학 산업이 둥지를 틀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공약인 수원 화성 오산 통합은 상생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그는 “4년 뒤 행정통합을 위해 우선 경제적 문화적 정서적 통합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화성시장 당선자도 적극적인 의사를 갖고 있어 여건이 좋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