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8일 서울 중구 태평로클럽에서 열린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16개 시도 교육감의 첫 간담회를 마치고 나오면서 이렇게 말했다. 참석자 대부분은 이날 만남에 대해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라고 전했다. 교과부는 1일 임기를 시작한 교육감에게 올해 주요 정책을 설명하고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이 모임을 마련했다. 하지만 교육계에서는 “진보 성향 교육감과 교과부가 학업성취도평가, 교원평가 등을 놓고 대립하고 있어 첫 만남부터 파행을 빚을지 모른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안 장관은 “정부가 학생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베스트가 아닐 수 있다. 우리가 봐도 지나친 부분은 교정하고 조정했다”며 “무조건 (정부 방침을) 따르라고 하는 건 옳지 않다. 시도교육감 협의회를 구성해 정부와 함께 멋있게 교육 개혁을 해나가자”고 말했다.
이기용 충북도교육감은 답사에서 “국가 교육 정책이 지방 교육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필요한 대목은 건의하겠다”며 “갈등과 분열을 넘어 한 차원 높은 교육 행정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반면 교원평가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민병희 강원도교육감과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민 교육감은 “장관은 창의성을 강조하지만 실제 현장은 시험에 찌들었다”며 “학업성취도평가를 전체 학생 대상으로 하지 말고 일부 학생을 무작위로 뽑아 치르는 방식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오늘은 마주 보고 토론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었다”며 “교과부가 중앙집권적 관치행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교원평가를 반대하는 이유는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라며 “법이 통과한다면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간담회에 앞서 이주호 교과부 차관과 따로 만나 교원평가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