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텨보고…경고방송 4시간 뒤에도 숲속 은밀한 낚시
미적대고… “대피하세요”에 “물 들면…” 2시간 끌어
북한이 댐 방류 가능성을 알린 18일 오후 경찰이 임진강을 끼고 있는 경기 연천군 군남면 북삼교 아래 나들이 나온 시민들을 서둘러 대피시키고 있다. 이날 군청과 경찰의 대피 요청을 무시하는 행락객들의 모습을 여러 차례 목격할 수 있었다. 연천=전영한 기자 ☞ 사진 더 보기
18일 오후 7시 반 어둑어둑해지는 임진강변 맞은편 숲에 낚시꾼 3명이 얼핏 보였다. 경기 연천군 직원들이 어렵게 강을 건너 낚시꾼들에게 다가갔다. “북한이 댐을 방류한다고 해 오후 내내 경고방송을 했는데 듣지 못했느냐”고 하자 “곧 나가려 했다”며 그제서야 주섬주섬 짐을 챙기기 시작했다.
연천군과 한국수자원공사가 첫 경고방송을 내보낸 것이 오후 3시 반경. 연천군 재난안전관리과 박광하 과장은 “그 시간에 사람들 눈에 띄지 않는 숲속에 들어가 있었다면 (경고방송을 듣고서도) 밤까지 낚시를 하겠다고 작정한 것”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임진강 참사’ 후 10개월이 지났지만 시민들의 ‘안전 불감증’은 여전했다. 2009년 9월 6일 북한이 아무런 예고 없이 황강댐 물을 무단 방류하면서 연천군 군남면 임진강 임진교 밑에서 야영하던 시민 5명, 그 아래 비룡대교 근처에서 낚시하던 시민 1명 등 6명이 억울하게 목숨을 잃었다. 당시 임진강 참사는 경보시스템만 제때 발효됐으면 막을 수 있었던 인재(人災)라는 점에서 안전 불감증에 대한 자성이 있었지만 그때뿐이었던 셈이다.
북한이 18일 댐 방류를 우리 측에 알려옴에 따라 연천군 인근 행정기관, 수자원공사 등 관계자들이 즉각적으로 피서객 대피 활동에 들어갔다. 수자원공사 군남댐 운영팀 박우양 팀장은 “북한이 황강댐 수문을 연다고 해도 물이 내려오는 데 7, 8시간은 걸리고,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 수위가 갑자기 위험수준으로 올라가는 일은 없을 테지만 지난해 임진강 참사의 기억이 떠올라 급히 재난구조 채비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말을 맞아 임진강변을 찾은 많은 행락객들은 뉴스와 경고방송에도 자리를 뜨려 하지 않았다. 이날 오후 4시 20분경 군남면 삼거리 북삼교 아래에 있던 일가족 10여 명은 군청 직원들의 대피 경고에도 “오후 6시가 되면 자리를 뜨겠다”며 여유를 부렸다. 오후 6시 40분경 경찰들이 다리 밑으로 내려가자 그제야 물놀이 장비를 챙기면서 “북한 때문에 놀지도 못한다”며 투덜댔다. 연천군은 18일 미산면에서 170명, 장남면에서 80명, 군남면에서 66명 등 총 330명의 행락객을 대피시켰다. 재난안전관리과 박 과장은 “아무리 예방 시설을 보강해도 시민 스스로 재해에 대비하고 행동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며 “안전문제에 시민들이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