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중독, 당신의 자녀는]“하지마” 윽박지르지 말고… 자녀와 소통이 우선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7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 부모는 어떻게

게임중독 아들 “게임 못하게 하면 아빠와 생깔거야”
한숨짓는 아빠
“이젠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서울 유명 대학의 A 교수는 요즘 게임중독에 빠진 중학생 아들 때문에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오락기를 끼고 살던 아이는 게임과 함께 자랐다고 한다. 처음에는 타이르다가 화가 날 때는 매도 들었지만 게임에 대한 집착은 사라지기는커녕 더욱 심해졌다. 폭력적인 게임을 즐기던 아들은 실제 성격까지 공격적으로 변했다. “게임을 못하게 하면 아버지와 생까겠다(무시하겠다)”며 험한 말을 서슴지 않았고 심지어 죽어버리겠다며 자해를 시도하기도 했다. “어릴 때는 제 눈치라도 보던 놈이 크니까 반항을 하더군요. 이제 저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게임 때문에 자식과 싸우는 부모 마음은 누구나 똑같을 겁니다.”
게임중독은 일부 청소년에게만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다. 평범한 가정에서 부모의 충분한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자란 학생들도 게임이라는 ‘가상현실’에 중독돼 가족들이 고통에 빠질 수 있다. 하지만 게임을 얼마나 해야 중독이라는 건지, 왜 중독 증세가 생기고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지 등 게임중독의 예방 및 치유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부모가 게임에 몰두하는 아이를 붙잡고 호통만 치는 사이 아이는 점점 더 가상현실에서 대리만족을 느끼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본보 독자인 A 교수가 “어떻게 하면 좋을지…” 문의한 것을 계기로 A 교수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지도 모를 독자들을 위해 게임중독의 실태와 치유법을 심층 취재했다.》

방학은 아이들이 게임을 접하기에 더없이 좋은 기간이다. 특히 부모가 게임 문제를 두고 아이들과 지나치게 감정 대립을 한다거나, 반대로 아예 방치하면 아이들의 게임중독 증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무조건 게임을 못하게 한다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강압적으로 게임을 중단시키기보다 아이들 스스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심경섭 서울 보성중 교사는 “게임에 역기능도 있지만 게임은 청소년들에겐 일상생활의 한 부분인 측면도 있다”며 “아이들이 또래집단과 어울리는 데 무리가 없을 정도라면 게임을 허락하는 여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시간으로 게임중독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많은 부모가 쉽게 오해하는 부분이다. 전문가들은 게임을 하는 절대적인 시간보다는 게임에 몰입하느라 포기하는 일상생활의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아이들의 중독 증세를 관리해야 한다고 말한다. 박정오 광진아이윌센터 상담원은 “특히 사춘기가 시작되는 중학생 때부터는 단순히 게임을 하는 시간뿐 아니라 반복성과 지속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중독 증세를 진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모가 자녀와 자주 대화를 나누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아이들이 게임의 어떤 부분에 매료되는지를 부모부터 잘 알아야 극단적인 대립을 피할 수 있다. 이모 씨는 게임중독에 시달리던 중학교 3학년 딸과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e메일부터 배웠다. 대화를 거부하는 딸에게 e메일로 편지를 쓰기 시작한 것. 딸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돌린 이 씨는 그 후부터 아이를 ‘컴퓨터 멘터’로 삼아 매일 조금씩 딸이 홀로 게임을 하는 시간을 줄여나갔다.

장관석 기자 jk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