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수능 모의평가가 끝난 지금은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두 달 남짓밖에 남지 않은 시점이다. 이젠 마무리 학습에 들어가야 한다. 이 기간에는 학습영역을 새롭게 넓히기보단 부족한 부분을 꼼꼼히 보완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하지만 이 시기에 특히 주의할 점이 있다. 부족한 부분만을 채워내면 성적이 오르리라는 막연한 믿음은 환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당초 자신 있었던 영역이나 부분에서 성적이 하락하는 학생들을 종종 보게 된다. 취약점을 찾아 보완 학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강점을 보이는 영역에 대한 학습계획도 꼼꼼히 세워야 한다는 뜻이다.
모의평가는 올해 수능의 출제 경향과 난이도를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그래서 6월과 9월 모의평가를 비교해 살펴보면 수능의 난이도와 출제 경향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은 9월 모의평가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주목함으로써 편중된 생각을 갖게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번 9월 모의평가에서 수리 영역이 매우 어렵게 출제되었다면 이후 수리영역에 편중되어 학습하는 학생도 늘어나는 것이다.
물론 실제 수능이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교과부의 정책방향이나 지난 6월 모의평가까지 종합 고려한다면 이번 수능이 매우 어려울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이런 뜻에서 남은 기간 일부 영역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학습태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9월은 누가 뭐라고 해도 대학 수시모집에 관심이 집중되는 시기이다. 이때 고3들은 또 한 번의 ‘공부단절’을 겪게 된다. 수시전형 지원전략을 짜느라, 다가올 중간고사에 대비한 학습전략을 짜느라 지금껏 해온 수능 공부의 리듬이 단절되는 것이다. 이런 위기를 지혜롭게 넘기기 위해서라도 수시지원 전략은 가급적 빨리 세워 실행한 뒤 다시 6월과 9월 모의평가에 대한 분석으로 돌아가 향후 학습계획을 세워야 한다.
특히 이 시기에는 지금껏 자신이 반복적으로 실수하거나 틀린 문제들을 주도면밀하게 살펴보면서 그 원인을 객관적으로 꼽아보는 일이 중요하다. 단순히 ‘집중력이 떨어져서’라고 단정하거나 ‘다시 풀면 풀 수 있어’라고 자만하는 태도는 또 다른 실수를 부를 뿐이다.
실수는 실수가 아닐 수 있다. 학생들은 평소 자신 있게 풀 수 있는 문제인데 조건을 착각하거나 계산에서 실수해 답을 틀렸을 경우 이를 ‘실수’라고 규정한다. 하지만 이런 실수가 반복된다는 사실은 이미 자신의 문제풀이 방식이나 태도 자체에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어준다. 이런 학생이라면 평소 자신 있다고 생각했던 문제들도 점검하고 다시 한번 눈여겨보는 시간을 학습계획 속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9월에는 실현가능한 목표치를 분명히 세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수리영역을 40점 받는 학생이 남은 기간 열심히 공부해 80점으로 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운다면 이는 목표가 아니라 환상이다. 수능은 사고력과 분석력, 논리력을 기반으로 하는 시험인 만큼 단기간 성적을 올리기는 어렵다. 이렇게 비현실적인 목표치를 세우게 되면 학습계획 자체가 모호해지면서 치밀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학습목표가 막연해지면서 양(혹은 진도) 중심의 학습태도가 나타나기 십상이다.
남은 두 달 동안을 감안한 최종목표치를 잡는다면, 영역별로 상위권 학생들은 2∼5점, 중위권은 5∼10점, 하위권은 10점 이상을 올린다는 목표를 잡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는 중하위권 학생이라면 ‘버릴 것은 버린다’는 태도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하기도 한다. 잊지 말라. 지금은 선택과 집중의 시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