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문화재 지정을”

  • Array
  • 입력 2010년 10월 1일 03시 00분


기념사업회 “주변에 공원 조성해야”

1960년 4월 11일 김주열 열사 시신이 인양됐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신포동 마산중앙부두에 세워져 있는 안내판.사진 제공 김주열열사추모사업회
1960년 4월 11일 김주열 열사 시신이 인양됐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신포동 마산중앙부두에 세워져 있는 안내판.사진 제공 김주열열사추모사업회
1960년 경남 마산 주민들이 이승만 자유당정권의 부정선거에 항거해 떨쳐나섰던 ‘3·15의거’ 당시 산화한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 장소를 문화재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주열 열사기념사업회’(회장 백남해 신부)는 30일 경남도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 열사 시신 인양지 일대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도록 경남도와 창원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기념사업회는 “문화재 지정 대상지는 1960년 3월 15일 밤 부정선거 규탄시위에 참가했다가 실종된 뒤 그해 4월 11일 최루탄을 얼굴에 맞고 숨진 김 열사 시신이 인양된 창원시 마산합포구 신포동 1가 47-4 중앙부두 해안벽과 접안시설, 해안도로, 해수면”이라고 밝혔다. 이어 “시신 인양지를 문화재로 지정한 뒤 그 주변에 ‘김주열 공원’을 만들고 ‘한국민주주의 전당’까지 유치한다면 역사교육 현장으로 더없이 좋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포동 마산중앙부두 김 열사 시신 인양지에는 기념사업회와 시민단체가 설치한 안내판만 있고 다른 기념시설물은 없다. 기념사업회는 매년 4월 11일 이곳에서 기념행사를 열었다. 의거 50주년인 올해는 ‘김주열 열사 범국민장’을 거행했다. 백 회장은 “많은 돈을 들인 기념행사나 웅장한 기념관보다는 역사 현장을 잘 보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