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고 입시 태풍의 눈… 올 첫 실시 ‘과학캠프’… 캠프진행 방식 선례 확인 → 대비책 마련을
그래픽 이고운 leegoun@donga.com
《서울 및 경기지역 과학고 원서접수가 마감됐다. 2011학년도 과학고 경쟁률은 지난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성과학고는 3.9 대 1, 세종과학고는 3.4 대 1, 경기북과학고는 8.1 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것. 한성과고, 세종과고, 경기북과고의 전년도 경쟁률은 각각 2.4 대 1, 2.8 대 1, 3 대 1이었다.
2011학년도 과고 입시에선 자기주도학습 전형으로 정원의 30%, 과학창의성 전형으로 70%를 선발한다. 과학창의성 전형에서는 과학영재학교가 실시하는 과학캠프가 도입된다. 과학창의성 전형에선 서류전형을 통과한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캠프를 실시하고 과학캠프 평가 결과와 학교 내신점수를 합해 최종 합격자를 뽑는다. 과학창의성 전형은 11∼12월에 진행될 예정이다.
과학고 입시에서 올해 처음으로 실시되는 과학캠프는 과연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까. 이를 예측하기 위해선 과학영재학교가 실시해오고 있는 과학캠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지난해 과학영재학교 과학캠프의 진행 방식을 토대로 올해 과고 과학캠프 대비법을 알아보자.》 ○수학, 무조건 공식 외우기보단 사고력 문제를 많이 풀어야
지난해 서울과고가 과학캠프의 일환으로 실시한 수학 심층면접은 20분 동안 대기실에서 문제를 풀고 면접관에게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출제된 문항을 살펴보면 사고력을 요하는 유형의 문제들이 많았다. △이동이 제약된 자동차 4대가 움직이는 거리를 구하는 문제 △평면도형을 활용해 축구공 모양을 만드는 방법을 구하는 문제 등이 대표적인 예다.
올해 과고 과학캠프 역시 과학영재학교와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복잡한 수학식을 활용하는 고난도 수학 문제를 푸는 데 많은 시간을 쏟기보단 짧은 시간 동안 논리적으로 문제를 푸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주어진 조건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뒤 식, 표, 그림 등을 활용해 문제를 푸는 방법이 도움이 된다.
과학캠프에선 대부분의 문제가 고교 과정 내에서 출제된다. 하지만 집합, 수열, 조합, 함수 등의 단원에선 고교 과정을 벗어나는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 과학, 사회 이슈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연습이 중요!
과학영재학교가 실시한 과학캠프에선 개별 및 조별 실험, 토론 등이 이뤄졌다. 서울과고는 하나의 가설을 설정한 뒤 결론을 도출하는 형식으로 실험평가를 진행했다. 토론은 당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서로의 의견을 반론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올해 과고 과학캠프에선 어떤 방식으로 학생들의 과학 실력을 평가할까.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학생 주도형 개인 면접, 토의 방식의 집단 면접 등이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올해 과고에 지원한 학생이라면? 과학영재학교 선발시험에서 많이 출제된 문제나 신문, 과학 잡지 등을 참고해 사회적으로 관심을 모았던 과학 이슈를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그 후엔 해당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과학 개념을 활용해 말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또 과학 지식을 토대로 과제물을 완성하고 이를 발표하는 평가가 이뤄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과고에선 △창의적 실험 설계 △자연 현상에 대한 가설 설정 △규칙 및 패턴 찾기 등으로 영역을 구분해 학생들의 과제 수행 능력을 평가할 전망이다. 창의적 실험 설계에 대비하기 위해선 △서울과고의 효소 활성, 전향력, 임계각 등과 관련한 창의적 실험 설계 문제 △경기과고의 물을 전기 분해하는 과제와 물 전지를 만드는 창의적 실험 설계 문제 △한국과학영재학교의 물시계에서 흘러나오는 물의 속력을 측정하는 실험 설계 문제 등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가설 설정부터 결론 도출까지의 탐구과정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규칙 및 패턴 찾기, 자연 현상에 대한 가설 설정 영역에 대비하기 위해선 대구과고 및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기출문제를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스스로 답을 작성해보고 이와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풀어보면 실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