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동두천 지역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26일 도청 실국장 회의를 동두천시 보산동 주민센터에서 열고 경기도지사, 경기도의회 의장, 동두천시장, 동두천시의회 의장, 동두천지원특별법 범시민대책위원장 명의의 공동건의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건의문을 통해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해 온 동두천시를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동두천시지원특별법 제정 △지역공동화 방지 대책의 조속한 확정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 구성 등을 정부에 공개 건의했다.
그동안 경기도와 동두천시는 60여 년간 국가를 위해 희생해 온 동두천시의 발전을 위해 정부에 특별회계 설치,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 배제, 환경분야 규제완화 등의 내용이 담긴 동두천시 지원 특별법 제정을 요청해 왔다. 용산미군기지의 경우 용산공원조성특별법까지 제정해가며 공원 조성을 위해 1조5000억 원의 국비를 지원했던 전례와 비교했을 때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 경기도 측 주장이다.
경기도는 이날 실국장 회의에서 자체 동두천 지원 대책으로 동두천시가 건의한 동두천 복합화력 발전소 건설과 동두천 지원도시 건설, 국지도 39호선 개설공사 조기착공, 통일대학 유치 등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경기도 실국장회의에는 국방부와 행정안전부 실무자도 1명씩 참석했다.
동두천시는 1951년 7월 6·25전쟁 당시 미 보병 24사단이 주둔한 이래 미군부대가 60년간 시 전체면적의 42.5%를 점유해 왔다. 현재 6개 미군기지 중 2곳만 반환된 상황이다. 또 2004년 이라크 파병 이후 미군이 1만2000명에서 5800여 명으로 줄었다. 미군을 상대로 한 사업체는 362곳(1500여 명 근무)으로 동두천시 전체가 공동화 위기를 느끼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