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경북도청 터(대구 북구 산격동) 등이 포함된 대구연구개발(R&D)특구 구역 지정계획을 마련한 데 대해 경북도가 적극 반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경북도청과 경북도 농업기술원 터(대구 북구 동호동) 등이 포함된 5개 지구 총 24.139km² 규모의 대구R&D특구 구역 지정계획을 마련했다.
대구시는 이 계획에 대한 공청회 등을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이르면 이달 말경 지식경제부에 제출해 공식 지정을 요청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계획이 알려지자 현 도청 터 등을 매각해 신(新)청사 건립비용으로 충당할 방침이던 경북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도청 터(13만9000m²)와 경북도 농업기술원 터(46만여 m²)가 R&D특구로 지정되면 시세의 절반 이하의 보상가를 받아야 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도청 터는 일반주거지역 2종으로 현재 m²당 120만∼130만 원에 거래돼 시가로 1700억∼1800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경북도는 2014년경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이처럼 갈등을 보이는 것은 R&D특구 구역 선정 과정에서 양측이 사전 협의나 조율을 하지 않았기 때문. 대구시는 경북도가 반발하자 관련 입장을 밝혀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청 터 등을 R&D특구 구역에 넣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며 “조만간 공식 의견을 대구시에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사전 협의는 없었지만 이견이 있다면 충분히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며 “R&D특구는 대구뿐 아니라 경북지역에도 파급효과가 큰 사업인 만큼 경북도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