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항 국내선의 무안공항 이전을 둘러싸고 광주시가 국토해양부에 ‘이전계획 철회’를 공식 요청하는 등 ‘광주·전남 공항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광주시는 18일 “광주공항 국내선을 무안공항으로 이전하려는 정부계획을 철회해 줄 것을 국토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건의는 국토부가 다음 달 광주·무안공항 통합계획을 담은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종합계획’을 확정해 고시절차를 앞두고 광주시와 전남도에 의견을 물은 데 따른 것이다.
광주시는 건의문을 통해 “지난 10여 년간 광주공항 국내선 이전의 부당성을 줄기차게 건의했으나 정부는 납득할 만한 이유 없이 공항개발 중장기종합계획(안) 수립 과정에서 기존의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며 “공항이용자 편의성을 존중해 공항 이용객 국내 4위인 광주공항의 국내선 이전계획을 철회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는 “2008년 5월 광주공항 국제선을 무안공항으로 옮긴 뒤 운항 횟수가 4개 노선 주 13편에서 주 2∼4편으로 줄어 이용자가 70%나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또 “국내 14개 지방공항 중 공항 이용객 4위인 광주공항을 폐지하려는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연간 136만 명이 이용하는 광주공항을 2만 명 수준에 불과한 무안공항으로 통합시키려는 시도는 사회통념과 상식에도 어긋난다”고 덧붙였다.
이어 시는 “정작 도시외곽으로 이전이 필요한 부적합시설은 막대한 소음을 유발하는 광주 군사공항”이라며 “향후 5년간 국가공항정책의 근간이 되는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종합계획’상 ‘광주·무안공항 통합’ 방안을 철회하고 ‘광주공항 민항기능 유지’ 쪽으로 내용을 수정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그러나 국토부와 전남도는 광주공항의 국내선 무안 이전을 기정사실화하는 상황이어서 공항 이전을 둘러싼 갈등이 표면화될지 주목된다.
전남도 관계자는 “광주시는 광주∼무안공항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광주공항을 무안공항에 통합하기로 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정부도 당초 방침대로 공항통합 계획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