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 사업 중 경남 김해시 낙동강 구간에 매립된 폐기물에서 일부 중금속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가 이 지역 폐기물에 대한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단독 조사를 믿을 수 없다며 자체 조사를 벌인 결과다.
이근선 경남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15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김해시 상동면 감로리 신곡마을 일원 낙동강사업 8공구에 매립된 폐기물 시료를 채취해 22개 항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납은 1개 지점에서 460ppm이 검출돼 기준치인 400ppm을 넘었다. 아연은 2개 지점에서 1918.7ppm과 2744.5ppm이 각각 측정돼 기준치(600ppm)를 최고 4배 이상 초과했다. 그러나 구리와 카드뮴 등 나머지 항목은 모두 기준치를 밑돌았다. 11월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조사에서도 일부 시료에서 납과 아연, 불소가 하천 토양오염 우려 기준을 초과했으나 나머지는 문제가 없었다.
이 원장은 “(경남도) 조사결과는 지난달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발표한 낙동강사업 8, 9공구와 15공구 준설구간 폐기물 분석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시료 채취 지점은 다르지만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조사도 신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중금속이 기준을 초과한 만큼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민간 기관과 함께 정밀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경남도 강병기 정무부지사, 임근재 정책특보,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 등 20여 명은 이달 2일 오전 관리자인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승인 없이 김해시 상동면 감로리 폐기물 매립지에서 중장비를 동원해 시료를 채취하다 마찰을 빚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