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까지 전국 대부분의 중고교 학생은 교과목별로 정해진 교실을 찾아다니며 수업을 받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가 2009년 시범 도입해 현재 중고교 15%(806곳)에서 운영하는 ‘교과교실제’를 전면 확대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교사가 반별 교실을 돌면서 수업하지만 교과교실제는 학생이 수학 과학 등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교사가 준비해 놓은 교실로 가서 배우는 방식이다. 학생들은 등교 직후 담임교사가 있는 교실에 모였다가 자기 수업 시간표에 따라 움직이면 된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창의적 수업 환경을 만들며 사교육비 경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2014년까지 교과교실제를 전면 확대하겠다”며 “창의·인성 교육, 수준별 맞춤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수업혁신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새 수업 방식은 내년까지 모든 일반계 고교에 도입하고, 2014년까지 농어촌과 중소도시의 작은 학교(전체 6학급 이하)를 제외한 전체 중고교의 90%에 적용한다.
교과부는 선진형과 과목중점형 2가지로 운영할 방침이다. 선진형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5개 이상의 교과에 적용하며, 과목중점형은 학교의 선택에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교과에만 적용하는 식이다. 선진형을 운영하는 학교에는 교실 리모델링과 증축을 위해 평균 7억 원, 과목중점형을 하는 곳에는 3억 원 정도가 지원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