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전국적으로 낮 최고기온이 12∼14도로 오르는 등 포근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가축 매몰지에서 ‘악취 비상’이 걸렸다. ○ 날씨 따뜻해지면서 악취 골머리
21일부터 경기도를 중심으로 매몰지에서 침출수를 수거하는 작업이 본격화되면서 악취 문제가 침출수 못지않은 골칫거리가 됐다. 경기 양평군 강하면 전수리 내 젖소 46마리를 묻은 곳에선 오후 들어 햇볕이 따스해지자 역한 냄새가 진동했다. 충남도는 악취 문제로 22일부터 도내 매몰지 301곳에 유용미생물로 만든 악취제거제 27t을 뿌렸다.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가축 매몰지에서 나온 침출수는 추운 날씨 탓에 사체 부식 과정에서 나오는 썩은 물이라기보다는 좁은 공간 내 많이 매몰된 가축들이 압착되면서 유출된 기름기와 체액이었다. 이 액체에다 그동안 잘 썩지 않던 사체가 낮 기온이 10도 이상 오르면서 본격적으로 부패함에 따라 갈수록 악취가 심해지고 있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현실적인 난제 가운데 하나가 악취 문제”라며 우려를 표시했다.
현재 전국 매몰지 일대는 가스배출관을 통해 사체가 썩을 때 나오는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유기산유(단백질이 썩을 때 나오는 물질) 등이 유출되고 있다. 황화수소는 계란이 썩는 냄새, 암모니아는 화장실의 퀴퀴한 분뇨 냄새가 난다. 대전대 환경공학과 김선태 교수는 “기온이 10도 이상 올라가면 가스발생량이 급증해 악취가 퍼지는 반경도 2∼3배 증가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몸에 유해한 황화수소는 저농도에서도 넓은 범위까지 확산되고 △매몰지 일대가 저기압일 때는 악취가 잘 빠져나가지 않고 △평야지대는 악취 확산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 단백질이 분해될 때 나오는 트리메틸아민에서는 생선 썩는 냄새, 메틸메르캅탄에서는 양파가 썩어 뭉개지는 냄새가 발생한다. 유기산의 경우 발 고린내와 유사한 자극적인 냄새가 난다.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는 “요즘 같은 날씨면 악취가 300∼500m 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미생물 이용 악취 잡기로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악취로 인한 후각 공해 피해를 막기 위해 분주한 실정이다. 경북 경산시는 최근 대구 남구에서 유용미생물 발효액 1t을 지원받았다. 이 발효액은 물과 10 대 1로 섞어서 살포하면 악취 제거와 방역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 효모균 방선균 광합성세균 등 유용미생물 80여 가지로 구성돼 있다. 미생물들은 대상물을 빨리 먹거나 소화시키면서 악취를 없애고 신속히 썩게 만든다. 경북 예천군의 경우 구제역 매몰지에 설치된 가스배출관에 생균제를 사용한 필터를 설치했다. 지름 10cm, 길이 50cm 크기의 필터는 탈취제 역할을 한다. 생균제는 효모균 바실루스균 등 7가지 미생물로 이뤄졌다. 예천군 농업기술센터가 개발한 것으로 지방분해 등에 효과가 있다. 악취를 없애고 사체 분해 속도를 앞당기는 효능도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구제역 감염 가축 매몰지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지리정보시스템(GIS) 등 첨단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매몰지 종합정보지도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일선 공무원은 이 시스템을 이용해 매몰지의 오염 취약 정도, 수질 정보, 토양의 물 빠짐 정도, 지하수 관정 위치 등을 한번에 파악해 관리하게 된다.
한편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이 구제역 관련 도살처분 가축의 매몰지 분포와 환경부의 상수도 설치 현황을 비교한 결과 구제역 매몰지 가운데 60%가 넘는 지역의 주민들이 식수로 지하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이날 밝혔다. 손 의원에 따르면 전체 149개 매몰지역(군 단위 이상)의 상수도 보급률은 36%(53개 지역)에 불과했고 60%(89개 지역)는 식수 등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