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 이전 문제로 주민들 사이에 찬반양론이 팽팽한 인천해역방어사령부.
김영국 동아닷컴 객원기자 press82@donga.com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 기지 이전 계획이 장기간 표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방사는 2015년까지 인천 중구 북성동 연안부두 인근에서 다른 지역으로 옮길 계획이었다.
○ 몇 년째 답보 상태
2009년 7월 28일 인천시는 국방부 국토해양부 등 관계기관과 인방사 기지를 2015년까지 현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인방사 이전 계획은 그해 10월 준공한 인천대교가 전시 등 북한 도발에 폭격을 당할 경우 교량 잔해가 함정의 항로를 가로막아 출동 자체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추진됐다. 이에 따라 해군은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등에 용역을 의뢰해 이전 후보지를 조사했고 송도국제도시 끝자락(10공구 인근)에 건설 중인 인천 신항 인근을 부대 이전 적합지역으로 꼽았다.
그러나 송도국제도시 아파트 주민들이 반대해 기지 이전이 원점으로 되돌아갔다. 송도 주민들은 “인천 신항 주변에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 저장시설이 있기 때문에 해군 기지가 이전하면 유사시 피폭 등이 우려된다”며 거세게 반대했다.
인방사는 현재 중구 북성동 인천 연안부두 옆에 있다. 수도권 서측 해역과 섬들을 비롯해 인천항만 등 국가 중요시설의 방어를 책임지고 있으며 기지 이전에는 3000억 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 무의도 이전은 대화로 풀어야
해군은 인방사 이전 용지로 송도 신항 인근과 함께 무의도를 제시했다. 무의도에는 현재 8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데 인방사 이전에 대한 찬반 의견이 양분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구에 따르면 기지 이전을 반대하는 무의도 어민들은 “인방사가 이전하면 주변 해역에 대한 어로 제한과 어장 붕괴 등 생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무의도 바로 옆에 위치한 실미도 특수부대의 기억이 아직까지 생생한 주민들도 군부대 이전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시각의 주민들은 “인천시가 적극 나서 주민들을 위한 대책을 세워 준다면 반대만 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기지 이전이 오히려 낙후된 섬의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시각도 있는 것. 장교 부사관 등 1300여 명의 군인이 거주하면 백령도처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한몫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는 것.
무의도 주민 A 씨는 “시와 군 당국이 나서 섬의 어느 쪽에 몇만 평 규모로 부대가 이전한다는 주민 설명회를 열고 주민을 위한 대책을 세운다면 송도처럼 반대만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