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강릉 경포지역을 독일 프라이부르크와 유사한 세계적인 저탄소 녹색도시로 만들기 위해 2020년까지 1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환경부와 국토해양부는 저탄소 녹색시범도시로 선정된 강릉 경포지역을 세계적인 친환경 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정부는 강릉 경포지역 일대 약 1억832만6000m²를 녹색도시로 만들기 위해 2020년까지 29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기반시설 설치 등 공공사업은 국고지원을 통해 추진하고 녹색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녹색기술 산업 등은 민간투자를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강릉 경포지역을 친환경 토지이용, 녹색교통, 자연생태, 에너지효율, 물·자원순환, 녹색관광 및 생활 등 6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명품 녹색도시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강릉 경포지역에는 태양광, 풍력, 해양심층수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구와 녹색기술 테마파크 등이 들어선다. 또 저탄소 주택단지 조성, 스마트 그린시티와 유시티(U-City·유비쿼터스 시티의 약자로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를 도시의 각종 기능에 융합시켜 도시 생활의 편의를 증대시킨 첨단 정보화 도시) 구현 등 도시 기반을 저탄소형으로 개편한다.
정부는 또 생태습지 복원와 녹지대를 활용한 치유의 숲 조성, 경포호 주변의 역사·문화자원을 녹색길, 녹색숲길 등으로 벨트화해 자연생태문화를 탐방할 수 있는 녹색공간도 조성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포대 주변을 ‘차 없는 거리’로 조성하고 전통한옥 문화체험장 조성, 경포천 뱃길복원 등 하천(경포천)-호수(경포호)-바다(동해)로 연결되는 녹지문화축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강릉 경포지역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 제로(Zero) 도시 △청정하고 쾌적한 자연생태도시 △역사와 전통이 어우러진 녹색문화관광도시로 만들 방침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직접적으로는 강릉 지역의 관광수익과 일자리가 창출되고 장기적으로는 한국이 녹색생활문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이끌어 국가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관계부처로 구성된 ‘범부처 추진지원단’을 구성해 녹색시범도시 추진에 필요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