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인천 공공기관 청렴도 14위로 다시 추락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7월 13일 03시 00분


2010년 16개 시도 조사… 공무원 40% “안 걸리는 게 더 많아”

경제자유구역을 비롯한 대규모 건설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인천시가 비리 도시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전국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청렴도 조사에서 시가 매년 바닥권을 맴돌고 있는 것이다.

12일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인천시의 청렴도 순위는 2007년 14위에서 2008년(10위), 2009년(12위) 등 다소 나아졌다. 그러나 송영길 인천시장이 취임한 지난해 다시 14위로 내려앉았다.

특히 시가 지난달 7∼16일 소속 공무원 47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7명이 지난 1년 동안 업무와 관련해 금품이나 향응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또 26명은 시 예산을 개인적인 목적이나 용도 외의 업무에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조사에 참여한 공무원의 40.2%(1891명)는 ‘부패행위를 해도 발각되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다’고 응답했다는 것이다.

시는 수년 전부터 공무원들이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기관에 단속될 때마다 반부패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거나 중징계 방침을 밝혔지만 각종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시가 발주하는 대규모 건설공사와 각종 인허가 사업과 관련한 기업체의 청탁이 워낙 만연해 있는 것이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은 시의 자정능력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 박길상 협동사무처장은 “인천에 워낙 많은 개발사업이 몰리다 보니 기업체의 접대나 청탁이 잦은 것으로 안다”며 “공직 내부와 외부의 감시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금천 기자 kchw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