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인천시 준공영제 도입만이 해답일까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10월 12일 03시 00분


삼화고속 파업으로 5만5000명 출퇴근대란 이틀째

인천 삼화고속 노사가 전면 파업과 직장폐쇄로 충돌하면서 버스 운행이 장기간 중단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이 출퇴근 시간을 앞당기는가 하면 인천∼서울 상하행 지하철이 붐비는 등 불편이 커지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소속 노조원들은 버스 운행을 막기 위해 10일부터 서인천 차고지를 점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천∼서울 26개 광역버스 노선 중 삼화고속의 20개 노선 242대가 이틀째 운행하지 못했다. 이 회사 노조원 594명 가운데 민주노총 소속 490명가량이 파업에 참가하고 있으며 한국노총 소속의 나머지 100명은 고속버스 운행에 투입된 상태다.

노조 관계자는 “흑자 경영을 계속 이어온 회사가 10년째 임금을 인상하지 않고 처음 파업한 6월부터 협상을 거부해 왔다”며 “회사가 직장폐쇄를 신고했기 때문에 인천시에 삼화고속의 면허취소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노조 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인전철 송내역, 인천지하철 작전역 등을 오가는 임시버스를 계속 운행하기로 했다. 회사 관계자는 “노조 파업으로 회사 시설과 버스를 보호하기 위해 직장폐쇄를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금협상은 3월부터 시작됐으나 인상안이 서로 큰 차이를 보여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시급을 기준으로 노조원은 현재의 4727원에서 5650원으로 인상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반해 회사는 4900원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는 “결근 없이 일했을 경우 한 달에 230여만 원을 받게 돼 단순 업무를 하는 아르바이트 학생들의 시급보다 200원 정도 많은 것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또 노조는 “삼화고속 노동자들의 임금은 인천지역 시내버스 노동자보다 월 50만∼60만 원 적은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노조원들은 격일제로 일하면서 노동시간이 하루 최대 21시간에 이른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노동시간을 18시간으로 줄이는 데 회사도 동의하고 있지만 기존에 지급하던 수당을 깎으려 해 사실상 임금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임금 수준이 인천지역 광역버스보다 10% 정도 높고 학자금 지원, 보험료 공제 등 복지수준도 좋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또 최근 서울역∼인천국제공항 공항철도 운행, 내년 서울지하철 인천 연장선 개통 등으로 경영 여건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여건에다 올 들어 노조의 잦은 파업으로 광역버스에서만 68억 원의 적자를 냈다고 한다.

노사는 서울과 경기처럼 인천지역 광역버스에도 준공영제를 도입할 것을 인천시에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광역버스에도 준공영제를 시행하면 연간 200억 원을 지원해야 하는데, 이는 현재 어려운 재정 여건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삼화고속 노선버스는 40여 년간 인천시민의 서울행 핵심 교통수단이었으며 하루 이용객은 5만5000명에 이른다.

박희제 기자 min0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