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경전철’ 10명… 이번주부터 줄소환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10월 24일 03시 00분


“제2 난개발 비리 되나”… 공무원-업자들 초긴장

용인경전철 사업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하고 있다. 검찰은 21일 경기 용인시와 시행사인 용인경전철㈜ 등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이르면 이번 주부터 관련 공무원과 업체 관계자를 불러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수원지검과 용인시 등에 따르면 검찰은 조만간 관련 인사들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소환 조사 대상은 검찰이 18일 용인경전철 사업과 관련해 출국금지한 인사들이다. 용인경전철㈜ 김모 사장과 이정문 서정석 전 용인시장 등 핵심 인사를 포함해 10명 가까이 출국금지된 상태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이들을 차례로 소환할 계획이다.

검찰은 9일 시민단체의 고발장 접수에 이어 20일 용인시의회의 수사의뢰서를 제출받은 바로 다음 날 전격적으로 압수수색을 하는 등 초기부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압수한 자료가 상자 50여 개에 달해 소환 조사는 이번 주 이후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

검찰은 이번 수사를 통해 리베이트 수수, 부실 공사, 불법 하도급 등의 의혹을 규명할 방침이다. 수사 대상에는 용인시, 시행사 외에 각종 공사를 맡은 건설업체들도 포함됐다. 용인경전철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뤄진 각종 용역 및 협의 절차의 배경까지 수사가 확대되면 관련 부처나 기관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용인경전철 수사는 과거 용인 난개발 비리 사건과 비슷하게 진행되는 양상이다. 이 사건은 1990년대 말 수지지역의 무분별한 아파트 건축 과정에서 공무원과 건설업자가 뇌물로 얽혀 50여 명이 적발된 전형적인 토착비리였다.

용인경전철은 1995년부터 추진됐다. 인·허가를 거쳐 2005년 12월 공사가 시작돼 지난해 완공됐다. 1조127억 원을 투입한 사업이다. 사업 규모로 볼 때 제기된 여러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엄청난 파장이 예상된다. 현재 멈춰 서 있는 용인경전철의 개통 시기도 더욱 미뤄질 수밖에 없다. 용인시 행정도 일부 차질이 불가피해 주민들의 피해까지 우려된다.

수원=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