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아직 ‘걸음마’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월 21일 03시 00분


정부, 기술개발 못따라가… 2년전 만든 제품 구식 전락… 단말기 보급 예산도 무대책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정부 주도로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가 나서 디지털교과서를 추진하는 사례는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국내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예산과 같은 현실의 벽도 높지만 정부의 사업 추진 속도에 비해 기술의 발전 속도가 훨씬 빠른 탓이다.

2007년 당시 정부는 디지털교과서를 2013년부터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책도 공책도 연필도 참고서도 필요 없는 교과서’를 목표로 새로운 단말기를 개발해 서책형 교과서를 대체한다는 계획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2009년 12월 윈도와 리눅스 운영체제(OS)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 플랫폼이 개발됐다. 하지만 2010년부터 태블릿PC가 일반화되면서 특정 OS에서만 제구실을 하는 기존 디지털교과서는 빛도 보지 못하고 ‘구식’이 돼버렸다.

한 대에 수십만 원에 달하는 단말기를 보급하기 위한 예산 대책도 없었다. 결국 정부는 2011년에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면서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 방향을 수정했다. 단말기는 정부가 보급하지 않으며 서책형 교과서를 완전 대체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교과서를 PC는 물론이고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어느 환경에서나 쓸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정부는 2015년까지 약 2조 원을 투입해 초등학교 4∼6학년에게 디지털교과서를 보급할 방침이다. 2조 원 중 1조8000억여 원은 각 학급에 전자칠판 같은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예산이며 나머지는 서버 운영비, 학급 운영비 등이다. 학생들에게 단말기를 지원하는 예산은 잡혀 있지 않다.

교육계에서는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찬반이 엇갈린다. 이건민 서울 자운초 교사는 “일반 교과서보다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고 했다. 연은정 괴산 소수초 교사도 “디지털 교과서에는 무한한 콘텐츠를 담을 수 있다”며 찬성했다. 반면 이금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사무처장은 “종이에 필기하면서 높은 집중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를 보조용으로 활용할 수는 있지만 전면 대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남윤서 기자 baron@donga.com  
박세환 인턴기자 성균관대 문헌정보학과 3학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