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 미래로 2010 대학탐방]인천대학교

  • Array
  • 입력 2012년 1월 27일 03시 00분


“내년 국립대 전환 계기로 세계 100위권 도약”

인천대를 시립대에서 국립대 법인으로 출범시킬 ‘국립대 법인 인천대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이 이달 13일 공포됐다. 법안 공포 1년 후인 내년 1월경 인천대는 새로운 모습으로 출발하게 된다. 정부 추천 등으로 구성될 11명의 ‘국립대 법인 설립준비위원회’가 이사회 구성 등 인천대 법인 태동을 위한 준비 작업을 주도하게 된다.

인천대는 사학재단인 ‘선인학원’ 당시 학내 분규로 몸살을 앓다 1994년 시립대로 전환됐고, 2010년 3월 인천전문대와 통합되면서 ‘제2 창학’을 선언했다. 재학생 규모로만 따지면 1만 명이 넘는 전국 13위권에 속한다. 이제 국립대 법인화를 계기로 국내 10위권, 세계 100위권 명문대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 국립대 법인으로 가는 길

법인화 법안이 지난달 말 국회에서 통과한 직후 인천대는 시행령 제정에 포함할 내용을 논의할 태스크포스를 가동했다. 11일 교수협의회, 직원 노조, 총학생회, 동문회 등 대학 구성원 4자로 구성된 ‘대학발전협의회’가 간담회를 열고 내부 결속을 다졌다.

그동안 16개 시도 가운데 인천에만 유일하게 국립대가 없어 ‘교육 차별’에 대한 시민 불만이 높았다. 2004년 구성된 ‘인천대 국립대 전환추진단’이 국립대를 향한 첫걸음을 내디뎠고, 2006년 교육부-인천시-인천대 간 국립대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8년의 진통 끝에 법인으로 전환되면 인사 및 재정 운영에 자율성을 갖게 돼 운영 시스템의 대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인천대는 5개 대학 특성화 프로그램에 따라 최근 기존 학과 교수 40여 명을 퇴출시키는 대신 생명과학기술대와 해양학과를 신설했다. 신입생 157명을 뽑았고, 이들 대학을 특성화하기 위한 시설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인천대교 건설을 위해 조성된 학교 앞 바다쪽 임시부두를 항만으로 유지하기로 했고, 이곳에 요트 계류장을 설치하기로 했다.

○ 재정 확대를 발판으로 대도약

인천대는 올해 인천시로부터 440억 원의 운영지원금을 받게 된다. 대학 측은 “대학 규모에 비해 지원금이 너무 적어 대학 발전을 위한 투자를 별로 할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정부와 인천시에서 받게 될 법인화 운영지원금은 현재보다 최소 2배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법인화에 따른 대학 구조개혁 지원금과 준비금, 운영비를 전액 책임지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인천시는 법안 통과 과정에서 2006년 맺은 양해각서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다짐했다. 인천시는 매년 200억∼300억 원을 15년간 주기로 했다. 정부 운영지원금은 규모가 비슷한 충북대 안동대 공주대 수준인 연간 700억 원 정도로 예상된다.

대학 측은 수준 높은 교수 충원을 위한 재정투자부터 늘리기로 했다. 학생 38명당 1명인 교수 정원을 국공립대 평균인 학생 28명당 1명으로 낮추기로 했다. 인천대는 “시립대에서는 공무원 기준으로 연봉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스타급’ 교수를 초빙할 수 없었다”며 “이제 효율적이고 과감한 교육 투자를 자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대학 측은 의과대 설립도 주요 현안으로 꼽고 있다. 국립대 가운데 인천대와 목포대에만 의과대가 없다는 점을 들어 ‘국방의과대’ 설립에 의욕적이다. 대학 관계자는 “의과대생이 공중보건의 지원에 몰리고 있어 군의관이 절대적으로 모자라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군의관 양성을 위한 전문 의과대를 개교하기로 해 제2캠퍼스인 글로벌캠퍼스에 650병상 규모의 병원을 짓고 의과대도 설립하려 한다”고 밝혔다.

인천=박희제 기자 min07@donga.com  
▼안경수 총장 “발전기금 1조원 목표 대학 자립 이뤄낼 것”▼

“대학발전기금이 1조 원 이상 모이면 자립이 가능합니다. 법인화 이후 ‘글로벌캠퍼스(제2캠퍼스)’ 조성과 의대 설립을 추진하고, 자립 재원도 마련해야 합니다.”

안경수 총장(사진)은 직선으로 당선된 이후 재임 기간 인천 도화동에서 송도국제도시로의 캠퍼스 이전, 전문대와의 통합, 국립대 법인화를 이뤄냈다. 안 총장은 1994년 사학재단에서 시립대로 전환될 때 실무를 총괄하는 기획처장을 지내기도 했다. 인천대 운명이 크게 변할 때마다 항상 중심에 있었던 셈이다. 그는 “시립화 경험이 있기 때문에 국립대 법인화 작업도 그리 어렵지 않을 것 같다”고 자신했다.

그는 내년 1월 국립대 법인으로 출발하기 전에 대학발전기금 확보하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로부터 재원을 받기 위한 대학발전계획 ‘인천대 비전 2020’을 새롭게 짜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시로부터 넘겨받을 수익용 재산 협상도 원만히 매듭지어야 한다.

“멀티미디어센터, 환경기술센터 등 국책 연구소가 6개 있고, 외국인 학생이 480명이나 다니고 있습니다. 지역발전과 산학협력에 기여하는 시설이 집중될 글로벌캠퍼스를 짓기 위한 땅 35만 m² 이상을 인천시로부터 받아야 하지요.”

연세대 송도캠퍼스 인근의 인천대 글로벌캠퍼스 용지는 매립 중이고, 매립 이후 대학 재산으로 소유권을 넘겨받아야 한다. 인천시와 협상을 통해 이전받을 부동산은 현 송도캠퍼스 인근의 유수지 10만 m², 야생조류공원 3만5000m²와 옛 도화캠퍼스 20만 m² 등이다. 이를 다 합하면 수천억 원 규모다.

안 총장은 “인천시가 법인화 이후 10년간 주기로 한 총 2000억 원의 대학발전기금을 적립하고 도화캠퍼스 도시개발사업 이익금, 전문대 이월재산 등을 모으면 20년쯤 뒤 1조 원의 재원이 생기게 된다”고 설명했다.

인천=박희제 기자 min0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