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호로 유입되는 경안천에서 이달 준설작업이 시작된다. 경안천 준설은 1973년 팔당댐 건설 이후 39년 만에 처음이다. 그동안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경안천 준설을 수차례 검토했지만 매번 논란 끝에 무산됐다. 그러나 지난해 정부가 국가하천정비사업에 착수하고 경안천 일대에 발생한 대규모 홍수 피해를 계기로 준설작업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 올여름 수해 막아줄까
1일 서울지방국토관리청(서울국토청)과 경기 광주시에 따르면 전체 22km에 이르는 경안천 가운데 17km 구간에 대한 하천환경정비사업이 이달부터 5년간 진행된다. 사업은 중상류의 경안지구와 하류의 서하지구 등 2개 구간으로 나뉘어 실시된다. 경안지구는 광주시 오포읍 매산리에서 송정동까지, 서하지구는 초월읍 지월리에서 퇴촌면 정지리까지다. 사업비는 약 569억 원에 이른다. 주요 사업은 제방 보강과 둔치 정비, 자전거도로 조성 등이다.
특히 퇴적물이 많이 쌓인 곳은 처음으로 준설이 이뤄진다. 경안천 준설은 199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검토됐지만 한 번도 실시된 적이 없다. 과거 준설이 추진된 이유는 주로 수질 개선이었다. 팔당호 수질을 악화시키는 경안천 하류의 퇴적물을 걷어내 물을 깨끗하게 만들고자 한 것. 최근에도 2006년 김문수 경기지사가 팔당호와 연결되는 경안천 하류 준설을 추진했으나 논란 끝에 이뤄지지 않았다. 반면 이번 준설은 수해 예방이 목적이다. 지난해 7월 말 광주지역에는 나흘간 431mm의 비가 내려 6명이 숨지고 1618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4대강 살리기 사업처럼 하천 바닥을 모두 걷어내는 대규모 방식 대신에 퇴적물로 인해 좁아진 물길을 넓히는 ‘부분 준설’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팔당호와 연결되는 경안천 하류는 준설 대상에서 제외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경안천 준설을 건의했지만 환경단체 등의 반대에 부닥쳐 실시하지 못했다”며 “이 정도 규모의 준설로도 수해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팔당호 준설도 가능할까
경안천 준설이 이뤄지면서 자연스럽게 팔당호 준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상 구간은 광주시 퇴촌면 광동교 주변부터 경안천이 팔당호로 이어지는 유입구역. 이 구간 준설은 3, 4년에 한 번꼴로 논란이 되풀이될 정도로 수도권 물 환경 분야의 ‘뜨거운 감자’였다.
앞서 지난해 수해 직후 광주지역 시민단체인 경안천시민연대는 “팔당호 퇴적물 때문에 경안천이 범람해 피해를 봤다”며 준설론을 다시 주장하고 나섰다. 경안천시민연대는 “여주 남한강은 4대강 사업을 통한 대대적인 준설로 물그릇을 키워 해마다 반복되던 침수 피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구간의 준설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관련 지자체 및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기술적으로 쉽지 않은 데다 팔당호 수질이 13년 만에 가장 좋은 수준이어서 준설로 인해 자칫 환경 훼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조영무 경기도 팔당수질개선본부 전문위원은 “팔당호 수질이 꾸준히 좋아진 것은 그만큼 물 환경이 안정적이라는 것을 뜻한다”며 “현실적으로 준설이 쉽지 않고 수질 개선이나 홍수 예방의 실효성도 낮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