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이 부산으로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살고 있는 이영석 씨(51)는 지난해 여름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휴가를 보냈다. 그러나 어릴 때 앞마당처럼 뛰놀던 그 백사장이 아니었다. 백사장 폭이 많이 줄어든 데다 바닷물과 접하는 모래면도 경사가 심했다. 어린이들에게는 위험해 보였다. 해운대해수욕장을 관리하는 해운대구 측은 20년 전부터 모래를 채우고 있으나 역부족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백사장이 좁아져 위기에 놓였던 해운대해수욕장이 원래 모습을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운대구는 “해운대해수욕장 복원사업이 국가사업으로 지정됐다”고 2일 밝혔다. 그동안은 구가 임시처방으로 대처했으나 앞으로는 정부에서 모래 유실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대처하게 된 것. 관련 예산도 국가가 지원한다. 따라서 해운대해수욕장 복원사업은 해양항만청이 맡는다.
1947년 해운대해수욕장은 폭 70m, 면적 8만9000m²(약 2만6000평)였으나 2004년에는 폭 38m, 면적은 4만8000m²(약 1만4000평)로 줄어들었다. 50여 년 만에 폭과 면적이 46%나 감소한 것. 구는 백사장을 복원하려고 1990년부터 매년 평균 모래 2800m³(5000만 원 상당)를 투입했으나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 항공사진을 분석한 결과 파도에 쓸려가는 모래가 연간 5000m³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구는 2004년부터 기본계획을 세우고 실시설계와 용역을 실시하는 등 근본적인 모래 유실 방지대책 마련에 나섰다. 백사장을 살리기 위한 ‘샌드 트러스트 운동’도 벌였다. 국내외 전문가에게 자문하는 등 백사장 복원을 위한 시민운동과 연구도 병행했다. 그 결과 백사장 복원을 위해 미포와 동백섬에 수중 방파제인 수중잠제가 필요하다는 답을 얻었다. 문제는 492억 원에 이르는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구는 모래복원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지정해 달라며 정부를 상대로 끈질기게 요청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지난해에는 국토해양부로부터 선도사업지구로 승인을 받아 국가사업 지정 길이 열리는 듯했으나 기획재정부의 무관심이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국회를 방문해 해운대해수욕장 정비사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설명한 끝에 올해 예산에 10억 원을 반영시킬 수 있었다.
구는 앞으로 5년 동안 492억 원을 들여 동백섬과 미포 쪽에 각각 길이 200m의 잠제를 바닷속에 설치할 계획이다. 선박유도 및 잠제보호 조형물도 설치한다. 또 연안과 잠제 사이에 호안시설을 만들고 모래도 추가로 뿌릴 예정이다. 이 시설들은 태풍과 해일을 완충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안류(離岸流·한두 시간 정도의 짧은 기간에 빠른 속도로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흐르는 좁은 표면 해류) 방지장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배덕광 해운대구청장은 “연간 2000만 명 이상이 찾는 해운대해수욕장의 명성을 드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길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