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의 한 고교에 근무하는 L 교사는 최근 학교폭력사건을 처리한 뒤 민·형사 소송에 시달리며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소화장애 증상을 보여 치료를 받는다. 다음은 L 교사의 증언.
“2010년 여름에 A 군(당시 고2)이 담임인 나를 찾아와 갑자기 ‘전학을 보내 달라’고 하는 겁니다. 이상한 느낌을 받아 세 차례에 걸쳐 상담한 끝에 A 군이 1학년 때부터 학교폭력을 당해왔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A 군은 상습적으로 같은 학년 학생에게 돈을 빼앗기며 ‘빵셔틀’(매점 심부름)을 강요받았습니다. 가해학생은 A 군에게 드라마 ‘추노’를 패러디하자면서 도망가는 노비의 모습을 교실에서 연기하도록 시킨 뒤 이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인터넷에 올리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L 교사는 학교에 보고한 뒤 한 달간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을 면담하면서 사건의 진상을 조사했다. 교내 학교폭력대책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가해학생은 퇴학조치되고, A 군은 전학을 갔다. 이렇게 사건은 마무리되는 듯했다.》 ○ 학교폭력 조사한 담임교사, 고소장을 받다
1년 뒤 문제가 불거졌다. 피해학생 A 군의 부모는 학교 측과 가해학생을 대상으로 정신적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총 3억 원의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학교와 담임교사가 자녀를 학교폭력으로부터 방치해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에는 가해학생의 부모가 L 교사를 형사 고소했다. 고소장을 접수한 서울의 한 경찰서 관계자는 “가해학생의 부모가 ‘L 교사가 학교폭력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하지 않은 일까지 진술하도록 아이에게 강요해 자녀가 피해를 입었다’며 고소했다”며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L 교사는 “학교폭력 문제를 발견해 학교에 보고하고 조사까지 했는데 표창을 받기는커녕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부모에게 동시에 소송을 당했다”면서 “명예퇴직 조건인 ‘재직기간 20년’을 지난해 채웠는데 이제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까지 든다”고 말했다.
○ 교사 명예퇴직 ‘하늘의 별 따기’…신청자 급증으로 떠나고 싶어도 못 떠나
최근 시도교육청별로 학생인권조례가 시행되면서 ‘교권 추락’ 논란이 이는 가운데 교직에 회의를 느끼고 명예퇴직을 신청하는 교사가 급증하고 있다. 교사들의 ‘명퇴 전쟁’이 벌어진 것. 올해 2월부로 명예퇴직을 신청한 초중고 교사는 서울지역의 경우 920명.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188명(25.6%)이 늘어났다. 경기지역은 563명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44.7%(174명)나 늘었다. 명예퇴직 신청자가 몰리자 ‘퇴직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속출한다. 일부 시도교육청의 경우 예상한 인원보다 훨씬 많은 교사가 퇴직을 신청하자 시도교육청이 책정한 퇴직금 예산이 부족해 모든 신청교사가 퇴직을 할 수는 없는 것. 서울지역은 2월부 명예퇴직 신청자의 절반에 못 미치는 300명가량만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명예퇴직을 원하는 교사가 급증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다양하지만 교사들은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으로 교권이 바닥에 떨어진 것이 결정적 이유”라고 입을 모은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초중고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3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명예퇴직 교사가 증가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93.5%가 ‘학생인권조례, 교육과정 개정 등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어려움’을 꼽았다. 교육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 외에도 제반업무가 크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학생들까지 대놓고 반항하거나 말을 듣지 않는 상황에 이르자 ‘교사로서의 보람을 느낄 수 없다’며 서둘러 퇴직을 결심한다는 것.
2월부로 명예퇴직이 결정된 서울지역 특성화고 J 교사는 “최근 학생의 학부모로부터 ‘자녀를 폭행했다’며 고소를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결국 무죄판결을 받았지만 정년이 6년 남은 지금 퇴직을 결심했다”면서 “우리 학교에서도 6명이 명퇴를 신청했지만 그중 2명은 교직 연차에서 밀려 퇴직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 나이든 교사, 여교사 수난…“선생님 완전 글래머예요”
주로 명예퇴직 신청 대상이 되는 50대 이상의 교사들은 학생인권조례가 시행된 뒤 학생 지도가 더욱 어려워져 교직에 회의를 느낀다고 호소한다. 일부 학생이 ‘젊은 교사보다 만만하다’면서 나이 많은 교사의 말을 듣지 않기 때문.
경기지역 고교를 최근 졸업한 K 씨는 “나이가 많은 선생님의 수업시간에는 학생들이 대놓고 자거나 다른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자는 학생을 교사가 깨우면 ‘왜요?’라며 말대꾸를 하거나 여교사에게 ‘완전 글래머예요’라고 말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교사 중 다수를 차지하는 여교사들은 최근 학생지도에 큰 어려움을 느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P 교사는 “지난해 교실에서 초등 6학년 여학생에게 폭행을 당한 뒤 교사를 그만둬야 하는 게 아닌가 심각하게 고민했다”고 말했다.
평소 문제아로 알려진 B 양이 간단한 조별과제를 하지 않아 P 교사가 B 양을 따로 불러냈다는 것. “왜 과제를 하지 않느냐”고 지적하자 B 양은 “네가 선생이야? 나 갈래”라면서 앞을 가로막는 P 교사에게 발길질을 하고 연필로 찌르려는 시늉을 했다고 한다.
“학교에 불려온 B 양의 가족이 ‘우리아이가 뭘 잘못했느냐’ ‘선생님이 욕하고 때렸다고 하더라’ ‘(교사가) 맞을 만하니까 맞았겠지’라며 오히려 따져 물었어요. 학교 측은 아무런 조치도 않았고 저는 사과조차 받지 못했어요.”(P 교사)
P 교사는 “기가 차고 수치스러웠지만 교사가 대응할 방법이 별로 없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학생과 학부모가 잘못된 행동을 하면 이를 제지할 수 있는 ‘삼진아웃’ 같은 실효성 있는 처벌기준이 법적으로 마련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