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제주 세계자연보전총회]“기후변화 대표지역 제주를 세계환경수도로”

  • Array
  • 입력 2012년 2월 24일 03시 00분


■ 9월 16일 개막 ‘제주 WCC’ 무엇을 논의하나

제주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서는 참가자를 위한 생태문화 체험과 비무장지대(DMZ) 보전방법 연구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섭지코지, 한라산 노루서식지, 경기 파주 DMZ 일대, 강원 철원 DMZ 일대. WCC 조직위원회 제공
제주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서는 참가자를 위한 생태문화 체험과 비무장지대(DMZ) 보전방법 연구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섭지코지, 한라산 노루서식지, 경기 파주 DMZ 일대, 강원 철원 DMZ 일대. WCC 조직위원회 제공
온난화와 기상이변 등 주요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WCC)’가 9월 6일부터 15일까지 제주에서 열린다.

▶본보 21일자 A16면 “지구를 회복시키자”… 전문가 1만명 환경올림픽


총회 개막을 195일 앞둔 WCC 조직위원회는 23일 “온난화, 동식물 자생지 훼손, 해양오염 등 세계적인 환경문제에 한국 상황을 접목해 ‘제주 WCC 의제’로 삼기로 했다”며 “총회에 참석하는 1만여 명의 환경전문가들과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국형 환경의제 설정


조직위와 환경부 따르면 범정부 차원에서 지난해부터 ‘WCC 의제’를 연구한 결과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는 보편적인 환경문제와 한국적 특성이 더해진 의제 94개가 선정됐다. 조직위는 이를 행사 공동주최자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제출해 △비무장지대(DMZ) 관리 △백두대간 생태 축 관리와 복원 △사막화문제와 황사 방지 △황해(黃海) 오염 등 74개가 제주 WCC 공식의제로 채택됐다.

조직위는 이번 총회를 통해 DMZ의 환경적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DMZ에는 두루미 아무르표범 등 수많은 멸종위기종과 2900여 종의 식물, 320종의 조류가 자생하고 있다. 또 DMZ 생태계를 훼손 없이 이용하고 보전할 제도적인 장치를 개발한 후 전 세계 국가에 주요 접경 지역 환경자원을 평화적으로 이용하는 사례로 제시할 계획이다. 조직위 김종천 사무처장은 “국내 환경문제도 결국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노하우를 가진 전문가들과 해결책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훼손 우려가 큰 백두대간 생태 축 보호 문제 역시 제주 WCC의 주요의제다. 백두산에서 금강산을 거쳐 지리산까지 뻗은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인 백두대간(총길이 약 1400km)은 국내뿐 아니라 중국, 러시아까지 연결된 생태 축이다. 한국정부의 환경정책만으로는 생태 축을 보호하기 어렵다. 제주 WCC에서는 생태 축 보호뿐 아니라 야생동물의 이동과 서식을 어떻게 유지시킬 것인지 등을 논의하고 중국 러시아의 협력을 이끌어낼 방안을 찾게 된다.

지구 사막화와 중국 네이멍구 황사 발생 문제도 이번 총회의 의제로 삼아 한국 일본 미국 등 황사 피해가 미치는 모든 나라와 함께 대안을 찾기로 했다. 황해 해양 오염과 해양자원 보전, 녹색성장과 자연보전의 연계 방안도 논의한다.

○ 제주도를 세계 환경수도로


개최지인 제주도는 WCC를 통해 온난화에 따른 지역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계획이다. 환경전문가들에 따르면 제주는 한반도 온난화와 기후변화를 가장 빨리 감지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제주 연안의 해수면은 온난화로 인한 북극 해빙 등으로 1970년부터 2007년까지 38년간 22.8cm가 상승해 연간 6mm가량 높아지고 있다. 전 세계 연평균 해수면 상승높이는 1.8mm에 불과하다. 제주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용머리 해안’(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은 밀물일 때 바닷물에 잠겨 하루 평균 4∼6시간 통제된다.

제주 해역은 수온상승으로 인해 온대에서 아열대로 급변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2010년 제주의 사계 옹포 행원 신천 등 4곳의 어종을 분석한 결과 70종의 어류 중 아열대성 어류가 28종으로 40%를 차지했다. 제주 해역에서는 최근 꽃돔 구갈돔 구실우럭 등 아열대 어종이 많이 잡히는 반면 전복 소라 오분자기(떡조개) 등 기존에 많이 잡히던 어패류는 개체수가 줄고 있다.

한라산 식생(植生)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한대성 침엽수인 구상나무(한반도 고유종)는 온대성 침엽수를 대표하는 소나무에 밀려 자생지가 줄고 있다.

조직위는 제주 지역 온난화와 기후 변화를 전 세계에 소개하면서 기후변화 연구의 최적지로 부각할 방침이다. 조직위는 2020년까지 제주도를 ‘세계 환경수도’로 지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는 “제주 WCC에서 세계 환경수도 지정을 위한 결의문 채택을 준비하고 있다”며 “IUCN이 세계자연유산을 지정하듯이 향후 환경수도를 지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기준과 방법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 WCC에서는 과거 총회에서 없었던 세계국립공원청장회의와 지방정부 서밋도 열린다. 국가별 국립공원, 보호지역 간 국제협력과 지방정부 차원의 녹색성장 방안을 각각 모색하는 자리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