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해 사람들이 먹지 않고 집에 쌓아둔 약을 약국이나 보건소가 수거한 물량이 이같이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환경부는 회수한 폐의약품을 전량 소각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매년 수거되는 가정 내 폐의약품이 급증하고 있다. 2008년 9t이던 가정 내 폐의약품은 2009년 62t, 2010년 227t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현재 가정에서 가져온 폐의약품은 전국 2만2000여 약국과 보건소가 1차 보관한 후 지자체로 보내 처리한다. 하지만 2008년 이전의 폐의약품은 정부가 별도로 수거하지 않아 일반 쓰레기와 구분 없이 버려졌다.
특히 지난해 수거된 폐의약품(348t)은 라면 박스로 5만8000개를 채울 수 있는 양이다. 아스피린 가격(1알 325mg, 100알 8000원)으로 환산하면 지난해 버려진 가정 내 폐의약품은 약 800억 원어치나 된다. 환경부는 가정 내 폐의약품이 증가한 이유를 “폐의약품을 회수하는 지자체가 늘어났고 구매한 뒤 먹지 않아 방치된 의약품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수거되지 않고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폐의약품은 새로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일반 가정에서 의약품을 종량제 쓰레기봉투나 하수구에 버리는 사례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주부 이모 씨(40)는 “먹고 남은 약을 무심코 쓰레기통에 버리곤 했다”며 “약국에 반환하는 제도가 있는 줄 몰랐다”고 말했다. 쓰고 남은 약을 무분별하게 버리면 그 약품의 각종 성분이 하천이나 토양을 오염시킨다. 특히 폐의약품을 하수구에 버릴 경우 하천에 유입되고 하수처리장에서 불완전하게 제거돼 다시 물을 마신 사람의 신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 국립환경과학원이 2007년 한강 물을 채취해 의약물질 27종에 대한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의약물질 15종이 검출됐다.
하지만 일부 약국은 장소가 좁고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수거함을 약국 내에 비치하지 않거나 회수를 기피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올해 폐의약품 회수 방법 개선과 주민 참여 유도 홍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약국과 보건소 외에 보건진료소, 주민센터(읍면사무소) 등 접근성이 좋은 장소를 폐의약품 배출 장소로 추가할 예정”이라며 “또 관련법을 개정해 생산자와 판매자에게 회수·처리 책임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