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월드컵을 치른 일본 축구경기장도 대부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월드컵 당시 신축한 경기장 7곳 가운데 홋카이도(北海道) 삿포로(札幌) 돔을 제외한 모든 경기장이 시설운영비를 자체 충당하지 못해 막대한 세금을 쏟아 붓고 있다. 250억∼600억 엔씩 들어간 건설비용 상환은 꿈도 꾸지 못하는 실정이다.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경기장 운영을 민간업체에 맡겼다. 이들 업체는 입장료 수입이나 스포츠대회 유치비, 지자체 주민 시설이용료 등으로 운영비를 충당하지만 매년 1억∼6억7000만 엔(약 14억7700만∼98억9800만 원)씩 지자체 보조를 받고 있다.
사실 이런 위탁경영도 적자를 탈출하기 위해 고심 끝에 나온 방식이다. 원래 일본은 지자체가 세금으로 지은 공공시설을 민간업체에 위탁경영하는 게 법으로 금지돼왔다. 그러나 눈덩이처럼 커지는 적자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2004년부터 각 지자체가 지정관리자제도를 도입해 공공시설의 위탁경영을 가능하도록 했다. 또 경기장 명칭을 바꿔 기업의 이름을 쓸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명명권(命名權) 제도도 허용했다. 예컨대 니가타(新潟) 스타디움은 ‘도호쿠(東北)전력 빅스완’으로, 오이타(大分)스타디움은 ‘오이타 은행 돔’으로, 요코하마(橫濱) 스타디움은 ‘닛산(日産) 스타디움’으로 각각 스폰서 이름을 따 이름을 바꿨다. 니가타 현의 경우 스폰서 회사인 도호쿠전력으로부터 해마다 받는 돈이 1억 엔에 이른다.
경기장 명명권은 이미 유럽 등지에서는 정착된 제도다. 얼마 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이 열린 독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가 대표적이다. 2006년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신축되면서 금융사 이름을 붙였다.
도쿄=김창원 특파원 changkim@donga.com 수원=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