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전면 지원하는 현재의 영유아 보육지원 체계를 소득에 따라 차이를 두는 ‘선별적’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만 3∼5세 어린이집·유치원비 무상 지원은 예정대로 추진하지만 0∼2세에 대해선 소득에 따라 보육료 지원을 차별화하고 여건이 되는 가정은 집에서 아이를 키우는 쪽으로 지원을 조정할 방침이다.
김동연 기획재정부 2차관(사진)은 3일 경기 안산시 협동조합 현장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현 제도에선 재벌가의 아들과 손자에게도 정부가 보육비를 대주게 되는데, 이것이 공정한 사회에 맞는 것이냐”며 현행 보육지원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김 차관은 “지금 같은 보육지원 시스템이 과연 지속 가능할 것인가를 검토해야 한다”며 “예산 편성 기간에 보육지원 체계의 ‘재(再)구조화 작업’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정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국회에서 수정된 예산안에 따라 올해부터 만 0∼2세 및 5세 아동에게는 부모 소득과 관계없이 보육료 전액이 지원된다. 정부는 또 내년부터 3, 4세 아동에게도 전 계층 무상보육을 실시하고, 현재 소득 하위 15% 차상위계층까지만 지급되는 0∼3세 양육수당(월 10만∼20만 원)의 지급범위를 하위 70%까지 확대하겠다고 올 초 밝혔다.
하지만 예산 편성을 맡고 있는 재정부가 ‘보육 재구조화’를 언급한 만큼 내년도 예산 편성 과정에서 보육·양육 정책은 전면 수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재정부 관계자는 “0∼2세 가정양육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정책을 가다듬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4개월 만에 정책을 뒤집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는 데다 대선을 앞둔 정치권이 무상지원 축소에 난색을 표할 수 있어 정부 뜻대로 추진될지는 미지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