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낮 12시 반경 지리산 천왕봉에서 2km 떨어진 법계사 공양간. 열려 있는 공양간 유리창을 통해 반달가슴곰 한 마리가 쑥 들어왔다. 곰은 사람이 지켜보는데도 10kg 정도 되는 쌀 포대를 입에 물고 유유히 사라졌다.
그로부터 약 2시간 뒤 곰이 다시 공양간에 나타났다. 대피소 직원들이 가스총을 쏘자 산 쪽으로 달아났다. 다음 날 오전 이 곰은 공양간을 다시 찾았다. 무슨 영문인지 오자마자 행패를 부렸다. 공양간 유리창을 깨뜨리고 모기장을 찢는가 하면 배설물을 뿌리는 등 20여 분간 사찰을 난장판으로 만들었다. 법계사 주지인 관해 스님(58)은 “사람한테 해를 끼치지 않아 절 식구들이 그리 놀라지는 않았다”면서 “아마 가스총을 맞은 분풀이를 하러 다시 온 것 같다”며 웃었다.
○ 말썽꾸러기 반달가슴곰 3인방
전남 구례군 마산면 지리산 자락에 자리한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이 반달가슴곰 귀에 부착된 발신추적기를 확인해 보니 이 곰은 2007년 풀어놓은 러시아산 관리번호 ‘25번’ 곰이었다. 다섯 살 암컷인 25번은 지난달 경남 하동군 화개면 민가에 내려가 장독 뚜껑 3개를 깨뜨린 ‘전과’가 있다. 종 복원사업을 위해 방사된 반달가슴곰은 이름을 불러주면 사람에게 의존하게 돼 번호로 부른다. 2004년 초기에는 ‘장군이’ ‘반돌이’ 등으로 불렀는데 사람과의 관계에 익숙해지면서 야생에 적응하지 못했다.
2009년생 중국산 암컷인 ‘38번’은 주민에게 미움을 사 최근 서식지를 옮겼다. 38번은 지난달 16일 경남 산청군 삼장면 지리산 자락에 있는 축사를 습격해 어미 염소 한 마리를 물어 죽였다. 당시 축사에 있던 염소 10마리는 얼마나 놀랐던지 아직도 돌아오지 않고 있다. 염소를 해코지한 38번은 결국 산청에서 30km 떨어진 하동으로 강제 이주됐다. 정우진 종복원기술원 복원연구팀장은 “말썽꾸러기 학생을 강제로 전학시킨 셈”이라며 “옮긴 지 보름이 지났는데 아직까지는 문제없이 얌전하게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38번과 동갑인 암컷 ‘36번’도 ‘요주의 곰’으로 꼽힌다. 지난달 구례군 산동면에서 먹이를 찾다 민가에 내려와 양봉농장에서 벌통 5통을 먹어 치웠고 이달 4일에도 같은 지역에서 2통을 부수고 달아났다. ‘벌통 따기’ 명수인 36번에게 종복원기술원은 ‘특별교육’을 할 준비를 하고 있다. ○ 야생에 적응한 반달가슴곰
직원들은 민가에 피해를 주는 반달가슴곰을 포획해 자연적응훈련장에서 2주간 사람과 시설물을 피하는 훈련을 시킨다. 휴식시간 없이 시도 때도 없이 들리는 호각소리와 전기 울타리 충격을 견뎌야 하고 휘젓는 막대를 피하는 ‘특별교육’이다. 강호남 종복원기술원 복원연구과장은 “한번 교육을 받고 나면 태도가 확 달라진다”며 “훈련 강도가 센 탓인지 두 번 교육을 받은 개체는 아직 없다”고 전했다.
종복원기술원은 ‘말썽꾸러기 3인방’이 여름철 서식 환경을 넓혀가는 과정에서 민간에 피해를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반달가슴곰 때문에 생긴 피해는 보험회사가 보상을 해준다. 지난해 보상액은 300여만 원으로 벌통 피해가 대부분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04년부터 토종과 혈통이 같은 개체들을 중국 러시아 북한 등지에서 들여와 방사했다. 현재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은 27마리. 이 중 8마리는 지리산 야생에서 태어났다. 2005년 러시아에서 들여온 ‘18번’은 2010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출산에 성공해 반달가슴곰들이 안정적으로 자연환경에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18번은 2008년 올무에 걸려 죽을 뻔했다. 다행히 빨리 발견돼 수술을 받았고 지리산으로 돌아가 새끼를 4마리나 낳아 직원들이 ‘복덩이’라고 부른다.
2009년 이후 지리산에서 태어난 반달가슴곰들이 짝짓기로 출산까지 하면 복원 사업은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생후 3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하고 4년부터는 새끼를 낳을 수 있어 직원들은 야생에서 태어난 곰 커플의 교미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