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9일 대선과 함께 치러지는 경남도지사 보궐선거의 관전 포인트는 무엇일까. 우선 야권의 수성이냐, 새누리당의 탈환이냐가 최대 관심사다. 이는 대선 판세와도 무관하지 않다. 결국 새누리당의 공천 방식과 야권의 후보 단일화 여부에 따라 승패가 갈릴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새누리당은 공천을 신청한 현직 단체장 및 (총선) 낙천 낙선자 문제를 정리하지 못했다. 하영제 예비후보 측에서는 현직 단체장 출마 반대 65.53%, 찬성은 16.33%라는 여론조사 결과를 홍보하고 있다. 지지율에서 앞서가는 박완수 창원시장, 그리고 3선인 이학렬 고성군수를 겨냥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현직 차출에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다. 두 사람 모두 인물이 괜찮고 선거 경험과 경쟁력도 상당하지만 중도 사퇴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적잖은 탓이다. 민주통합당 김두관 전 지사를 맹비난했던 것이 얼마 전이다. 박근혜 대선후보가 말하는 원칙과도 거리가 있다. 무엇보다 선거전에서 야권을 공격할 최대 무기인 ‘중도 사퇴 책임론’을 포기해야 한다. 최근 몇 년 사이 창원 거제 거창 김해 진주 등지에서 임기 중간에 보따리를 쌌던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줄줄이 낙선한 전례도 있다. 시민의식이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야권은 상황을 주시하면서 준비하는 단계다. 후보 단일화 논의도 아직 없다. 민주당으로서는 김 전 지사의 중도 하차 후유증이 골칫거리다. 통합진보당으로 ‘헤쳐모여’한 옛 민노당 등은 김 전 지사와 선거연대는 물론이고 경남도정에 참여도 했다. 15년 만에 진보성향 도지사를 뽑아준 도민들의 뜻을 저버린 데 대한 공동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유다.
그만큼 야권 상황은 열악하다. 후보 단일화까지도 가시밭길이겠지만 단일화 효과 역시 2010년 지방선거만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위장 무소속 논란→민주당 입당→중도 사임이라는 ‘김두관 학습효과’가 뚜렷해서다. 야권이 각자 후보를 내거나, 야권 대선후보가 선전하지 못하면 도지사 보선은 새누리당 주도로 진행될 확률이 높다.
이번 보선은 단지 도지사를 뽑는 선거 이상의 의미가 실린다. 경남 유권자는 258만 명(전체 유권자의 6.4%)으로 대선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K(대구경북)와 함께 PK(부산경남)라는 지역적 상징성도 띤다. 지사직을 내놓고 배수진을 쳤던 김 전 지사는 두 달 사이 빈손이 됐다. 대신 경남도민들은 지역과 국가 미래를 책임질 인물을 동시에 선택해야 하는 막중한 시기를 맞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