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무상보육의 도입 과정도 문제다. 지난해 12월 말, 정치권은 정부안에 없던 0∼2세 무상보육안을 예산에 끼워 넣었다. 보건복지부 실무자들조차 “TV 뉴스를 보고야 알았다”고 할 정도로 급작스러웠다.
보육정책 기조가 완전히 바뀌면서 부작용이 생겼다. 그동안은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보육비를 달리 지원했다. 장기적으로는 보편적 무상보육을 위해 올해 만 5세를 시작으로 만 4세, 만 3세 순으로 점차 늘릴 계획이었다.
정치권의 힘에 밀려 0∼2세를 먼저 지원하면서 정부 계획이 꼬이기 시작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어린이집을 다니는 0∼2세는 80만여 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65만 명에 비해 15만 명 정도 늘었다. 집에서 키우던 아이들까지 유치원에 등록시키면서였다. 정부가 모두 지원하니 공짜 심리가 발동했다는 분석이 많다.
정치권과 기획재정부의 안이한 수요 예측 역시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지난해 어린이집을 이용한 0∼2세 73만 명 중에서 자비로 다닌 19만 명 정도만큼만 예산을 늘리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현실은 달랐다.
정익중 이화여대 교수(사회복지전문대학원)는 “정책은 전문가의 연구와 시범사업을 거쳐 차분하게 도입해야 한다. 이번 사례는 여론에 밀려 땜질식으로 정책을 도입할 경우 부작용이 크다는 점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