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나이 80에서 남자분들은 3을, 여자분들은 4를 빼세요. 가족 중 암이나 심장병, 당뇨를 앓았던 분이 계시면 3을 빼주세요”
9일 오후 7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생활과학관 강의실. 한경혜 서울대 아동가족학과 교수가 ‘100세 시대 인생대학’ 강의에 모인 은퇴 준비자에게 기대수명 계산법을 일러주고 있었다.
강의실에 모인 70여 명은 저마다 앞에 놓인 메모지에 자신이 몇 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인지 셈하느라 분주했다. 기대수명 계산이 마무리될 무렵 강의실에 모인 이들은 놀란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 100세 시대, 미래가 아니다
“어머, 나는 아흔네 살까지 사네.” 계산을 마친 한 중년 여성이 번쩍 손을 들더니 놀란 목소리로 말했다. 한 교수는 미소를 지으며 답했다. “아흔네 살이 그리 많은 나이가 아니에요. 여기 기대수명 아흔네 살 이상으로 나오신 분 손 한 번 들어보세요.”
10명이 앞다퉈 손을 들었다. 다들 기대수명이 생각보다 많이 나온 것에 당황한 표정이었다. 기대수명이 100세, 104세, 106세인 이들도 있었다.
한 교수는 그들을 천천히 둘러보더니 말을 이었다. “보셨죠. 100세 시대가 더는 먼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지금부터 충실하게 미래를 준비하지 않으시면 은퇴 후 남은 40년을 허투루 보낼 수 있다는 거예요.”
이날 강의에 모인 이들은 만 45∼65세의 우리투자증권 VIP 고객들이다. 평균 금융자산만 7억 원에 이른다. 언뜻 생각하면 자산이 충분한데 은퇴 뒤 뭐가 불안하나 싶다. 그러나 이들의 생각은 달랐다.
호텔 근무 경력이 있는 현모 씨(54·여)는 “나는 아직 하고 싶은 일도 많고 할 수 있는 여력도 충분한데 나이를 먹으며 점차 사회에 불필요한 존재가 되는 것 같아 불안하다”며 “어떻게 해야 행복하고 활력 있게 노후를 준비해야 할지 조언을 얻으러 왔다”고 말했다.
인생대학을 다니며 새로운 친구를 만나고 싶다는 참가자도 있었다. 금융업계에 종사하다 퇴직한 김모 씨(65)는 “은퇴 뒤 2년간은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마냥 집에서 시간만 보냈다”며 “비슷한 고민을 가진 분들과 같이 대화도 하고 취미도 공유하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며 웃었다.
○ 자아정체성 확립이 준비 첫걸음
이날 강연에서 한 교수는 ‘나이 듦’에 대한 공포를 없애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이가 들면 육체와 정신이 노쇠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설명이다. “나와 내 배우자만 늙는 게 아니에요. 누구나 출생과 함께 늙어가는 겁니다. 나 혼자만 늙는구나 생각하면 의기소침해지는데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나이 들어도 평소 생활하던 대로 살아가는 게 중요해요.”
한 교수는 전국을 돌며 만났던 100세 노인의 이야기를 예로 들었다. “제가 얼마 전 올해로 102세 된 할머니를 만났어요. 이 분은 아직도 아들과 매일 티격태격한다고 하더라고요. 아들 나이가 아마 여든 살이었죠.” 객석에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싸우는 이유가 뭐냐고 물었더니 아들이 소주를 못 마시게 한다는 거예요. 자신은 소주가 먹고 싶어서 매일 슈퍼마켓에 가서 한 병씩 사는데 아들이 집안에 숨겨둔 소주를 기가 막히게 찾아내곤 혼낸다는 거예요.”
강의에 참가한 은퇴 준비자들의 눈이 초롱초롱해졌다. 한 교수가 천천히 말을 이었다. “여기서 포인트가 뭘까요? 할머니는 아직도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걸 사러 슈퍼마켓에 가고, 소주를 사고, 숨기고, 가족과 실랑이를 하죠. 본인이 늙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평소 하던 걸 안 하기 시작합니다. 밖에 나가질 않고 원하는 걸 하지 않아요. 그럼 진짜 늙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한 교수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정리하고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돌아보라고 조언했다. 자신이 원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되짚어 보는 게 건강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지름길이라는 설명이다.
한 교수는 강연을 마무리하며 서로 옆자리를 바라보라고 주문했다. “100세 시대에 미래를 대비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는 큽니다. 마음을 평온하게 가지세요. 여러분 혼자만 늙는 게 아니거든요. 오늘 여러분은 함께 나이를 먹어가는 좋은 동료를 만난 셈입니다. 우리 모두 100세까지 건강하고 활기차게 살 수 있습니다. 용기를 내십시오.” 강의실에서 박수가 터져 나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