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등 14개 시군 28곳에서 멸종위기생물인 긴꼬리투구새우도 발견된다. 2009년보다 15곳이 늘어난 것이다. 환경지표 생물인 흰색 깔따구도 크게 늘고 있다. 전남지역 논밭에서 제초제 대신 우렁이, 미생물 살포 등 각종 친환경농업이 활성화되고 농약 사용량이 줄면서 자연의 생명력이 되살아나고 수질도 좋아지고 있는 것이다.
전남도는 올해 말까지 도내 경작면적 30만3000ha 중 9만3000ha(30%)가 친환경농업 인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18일 밝혔다. 15일까지 친환경농업 인증면적은 7만1273ha(23.5%)였다. 가뭄과 폭염, 태풍 등 이상기후로 경작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보리, 밀, 무, 배추 등 특화작물 작황이 좋고 친환경농업 신규 인증 면적이 더해져 9만3000ha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남은 전국 친환경 인증면적(무농약 이상) 61%를 차지하는 친환경농업 1번지다.
친환경농업의 메카가 되면서 생태계 복원 이외에 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효과도 거두고 있다. 최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학교 급식 수요가 늘고 국민의 안전한 먹을거리 선호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친환경 농산물 시장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전남도가 2004년부터 8년 동안 친환경농업 육성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지난해에는 도내 전체 쌀 소득이 1000억 원 정도 더 늘었다. 전남발전연구원은 전남의 친환경농업 실천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3조9239억 원으로 예측했다. 전남이 친환경 농자재 최대 소비시장으로 부각돼 농자재 업체 수가 174개로 늘어 653명의 고용이 창출됐다.
전남도 등은 친환경 농산물 재배와 유통에 대한 관리를 엄격히 하고 있다. 안전한 먹을거리 생산에 철저한 사후관리는 필수 조건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남지역 친환경 농산물 생산농가 7만여 곳 중 4840곳은 인증 취소나 표시사용 정지, 경고조치 등 행정처분을 받았다.
전종화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위해 사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며 “2014년까지 도내 경작지 45% 정도가 친환경농업 인증을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