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길이가 길어야 60㎝ 안팎에 불과한 담비가 호랑이의 뒤를 이어 남한 야생에서 '제왕'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4년 동안 무선 위치추적, 무인 카메라, 배설물을 이용한 먹이 분석 등의 방법으로 담비의 행동권과 먹이습성을 연구해보니 이렇게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담비가 남긴 배설물 414점을 분석한 결과 멧돼지와 고라니 등 자신보다 몸집이 훨씬 큰 대형 포유류가 전체 먹이의 8.5%를 차지했다. 이들을 비롯해 청설모ㆍ다람쥐ㆍ멧토끼ㆍ두더지ㆍ말벌 등 동물성 먹이가 50.6%, 다래ㆍ버찌ㆍ머루ㆍ감 등 식물성은 49.4%인 것으로 분석됐다.
2~3마리씩 무리지어 다니는 담비는 한 무리가 고라니나 멧돼지를 연간 9마리, 청설모는 75마리가량 잡아먹는 것으로 환경과학원은 추정했다.
조그만 담비가 대형 포유류도 제압할 수 있는 이유는 2~3마리가 역할을 분담해 '파상공격'을 펴는데다 용맹성도 타고났기 때문.
'담비가 모이면 호랑이도 잡는다'는 옛말이 그대로 들어맞았다.
최태영 환경과학원 연구사는 "사체나 발자국 정황을 보면 담비는 맹수처럼 숨통을 한 번에 끊지는 못하지만 여러 마리가 올라타 여기저기를 물어뜯어 상대를 쓰러뜨린다"고 전했다.
또한 생태계의 조정자인 담비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기특'한 동물이다.
담비가 즐겨 먹는 멧돼지나 고라니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야생동물이다. 청설모는 잣ㆍ호두ㆍ밤 등 고소득 견과류에, 말벌은 양봉에 타격을 준다. 즉, 담비가 야생동물에 의한 작물 피해를 줄이는 가치도 있다는 것이다.
환경과학원은 담비의 행동권이 22.3~59.1㎢에 달할 정도로 넓어 생태계의 '우산종'으로서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우산종은 행동권이 넓고 먹이 피라미드에서 꼭대기에 있는 종을 말한다. 우산종을 보호하면 같은 공간에 있는 다른 종들을 함께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종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담비는 어미에게서 독립할 때 40㎞ 이상의 먼 거리를 이동해 생태통로 조성, 생태축 복원 등 보전사업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환경과학원은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