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을 대표하는 명산인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승격시키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1980년 5월 도립공원 지정 이후 33년 만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최근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공동연구와 역사문화생태 조사, 산림문화 휴양시설 조성, 관광코스 개발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25일 동구 용수동 시민안전테마파크에서 국립공원 추진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연다. 이 설명회는 팔공산 주변 주민 사이에서 “국립공원으로 승격될 경우 각종 개발이 제한되고 불편이 많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대구시는 설명회에서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더라도 현재 자연공원법이 적용되고 있는 상태여서 추가 제한은 없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조만간 팔공산이 걸쳐 있는 시군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마련할 계획이다. 팔공산 보호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대구경북연구원은 다음 달 말 최종 결과를 내는 한편 여론 수렴을 위한 세미나도 열 계획이다.
팔공산 국립공원 추진은 지난해부터 시작됐지만 최근 광주 무등산의 국립공원 승격이 자극제가 됐다.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무등산은 광주시의 노력으로 지난해 12월 국립공원으로 승격됐다.
무등산은 공원 면적이 대부분 광주에 포함(전체 30km² 중 광주 27km², 전남 3km²)돼 있지만 팔공산은 사정이 다르다. 팔공산 전체 면적 중 경북 칠곡군과 군위군, 영천시, 경산시가 72%인 90km²(약 2720만 평), 대구가 28%인 35km²(약 1050만 평)이다. 이 때문에 대구시와 경북도는 공원관리사무소를 따로 운영해 인력과 예산이 중복돼 비효율적이지 않으냐는 지적을 받아왔다.
팔공산은 사유지가 76%여서 재산권 행사가 제한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동구 용수동 동화사 집단시설지구에서 음식점을 하는 김모 씨(46)는 “국립공원이 되면 각종 규제와 제한이 늘어날 것이라는 걱정을 하는 주민이 적지 않다”며 “지금은 찬반 의견이 비슷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시도는 팔공산이 국립공원이 되면 오히려 장점이 많다는 점을 알려 나갈 계획이다. 정부 지원으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데다 휴식공간 조성으로 팔공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바뀐 뒤 산의 위상이 크게 높아져 지역 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사례를 연구하겠다”며 “설명회를 시작으로 주민 공감대를 넓혀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대구보다 관리 면적이 훨씬 넓은 경북은 시군의 이해관계까지 얽혀 있어 신중한 분위기를 보인다. 경북도 관계자는 “곧 나올 연구용역 결과를 분석하고 주민 여론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팔공산은
비로봉(해발 1193m)에서 동·서쪽으로 20여 km에 걸쳐 능선이 이어진다. 1962년 ‘또 하나의 약사여래불, 팔공산 벼랑 끝에 외로운 좌선 천년’이라는 제목의 동아일보 기사로 일명 ‘갓바위 부처님’이 처음 소개되면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팔공산의 상징인 갓바위(정식 명칭은 ‘경산 팔공산 관봉석 조여래좌상’·보물 431호)는 정성껏 기도하면한 가지 소원은 들어준다는 속설 때문에 전국에서 찾는 사람이 많다. 최근에는 갓바위를 국보로 승격시키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