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규 전 건국대 총장(61·사진)이 재직 당시 학교 공금 등 6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김 전 총장이 유명 의사를 영입해 주겠다며 건국대병원에서 받은 스카우트비 2억 원과 자신이 회장으로 있는 의료관련 협회 자금 4억 원을 개인 용도로 쓴 혐의가 확인돼 검찰에 기소 의견으로 송치했다고 24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김 전 총장은 2011년 5월 서울대 의대 선배이자 삼성서울병원 고위 간부를 지낸 A 씨를 데려오는 데 쓰겠다며 스카우트비로 받은 2억 원을 대한임상정도관리협회에서 횡령한 공금을 메우는 데 쓴 혐의를 받고 있다. A 씨에게는 “내가 곤란하게 됐으니 학교 측에는 돈을 받았다고 하고 우리 병원으로 와 달라”고 부탁해 영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총장은 이보다 석 달 전인 그해 2월 협회 자금 4억 원을 빼돌려 개인 채무를 갚는 데 쓴 것으로 조사됐다. 빚 ‘돌려 막기’ 목적으로 횡령이 이뤄진 셈이다.
대한임상정도관리협회는 임상병리 검사 개선을 위해 검사기구나 시약 등을 연구, 조사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김 전 총장은 2001년부터 회장을 맡고 있다.
김 전 총장은 경찰 조사에서 6억 원 횡령 혐의를 시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당초 4억 원의 빚을 어떻게 지게 됐느냐는 수사관의 질문에는 “프라이버시 영역이니 말할 수 없다”고 버틴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총장은 학교 측 감사 결과 횡령 정황이 드러나 경찰에 고발당하고 수사망까지 좁혀오자 협회에서 가져다 쓴 자금 전액과 건국대 자금 7000만 원 등 현재까지 총 4억7000만 원을 갚았다. 건국대는 “교수협의회와 직원노조가 문제를 제기했고 학교 법인의 자체 감사 등 내부 감시 시스템이 신속히 작동해 비리를 밝힐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댓글 0